학술논문
복잡한 해안지역에서의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성 평가
이용수 107
- 영문명
- Applicability Evaluation of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in the Complex Coastal Region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효선(Hyo Seon Park) 최계운(Gye Woo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2호, 215~230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IPCC 5차 평가보고서에서는 4차 평가보고서의 SRES 시나리오에 이어 새로운 온실가스 농도 전망 기법인 RCP 시나리오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새로운 RCP 시나리오에 의해 산출된 일강수량의 실무 적용 시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해안지역에 위치한 인천을 대상으로 하여 인천과 강화 기상관측소 지점의 최근 40년간 관측 자료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예측자료의 강수량변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계절 중 강수량이 집중되는 여름철의 강수변화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최근 40년간 여름철 관측 자료와 2011년부터 2050년까지 미래 40년간 여름철 예측자료를 비교한 결과, 강화지점의 경우 강수량 증가 추세가 관측 자료와 모의자료가 비교적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인천지역의 경우 현재의 관측치보다 과소모의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기간 최대강우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관측 및 RCP 시나리오의 연최대일강수량을 비교한 결과, RCP시나리오의 경우 일부 예측 값들이 현재의 연간 총 강수량보다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이상강수가 나타났다. 이밖에도 지형이 복잡한 해안지역의 경우 바다와 육지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아 기후변화 자료를 구축 및 활용하기가 쉽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에 따른 해결방법을 일부 제시하였으며 추후 이러한 불확실성 결과를 초래하는 요소들을 수정하여 각종 물관련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RCP scenarios which are the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concentration were applied in the IPCC Fifth Assessment Report(AR5) followed by SRES scenarios of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This research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daily precipitation by new RCP scenarios from KMA. The last 40 years observed precipitation data from Incheon weather station and Ganghwa weather station are also analyzed. Afterwards, climate change scenarios' of predicted precipitation data were compared with the observed precipitation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precipitation change, we compared last 40 years observed precipitation data and the future 40 years data which is measured from 2011 to 2050yr. Observed and simulated precipitation data at Ganghwa weather station show a similar increasing trend. Simulation data of Incheon weather station show lower simulated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current observed data. Also, in order to consider short-term maximum rainfall characteristics, we analyze annual maximum daily precipitation of RCP scenarios. Some predicted values are higher than the current value of the annual total precipitation data. In addition, sea and land boundaries present a complicated topology, so it is difficult to build climate change data and to apply utilization of resources. Therefore, Solutions to the uncertain boundary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re need to be done changes by modifying some elements in order to avoid some of the future consequences and apply them in various water-related business which are willing to suggest the correct informatio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대상지역 및 강우자료의 수집
Ⅳ. 대상지역 적용을 통한 기후변화시나리오의 적정성 평가
Ⅴ.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무인항공 사진측량을 이용한 고해상도 공간정보 취득
- 복잡한 해안지역에서의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성 평가
- 하천수위의 단기 예측을 위한 수위 및 강우량 계측정보의 활용
- 산업재해 환자의 개인적 특성과 우울간의 관계
- 유류화재 사고ㆍ사례 분석
-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영산강유역의 장기유출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소방공무원 보훈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셰일가스 개발에 따른 주요 환경문제와 그 대안
- 댐 붕괴에 의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범람 영향에 관한 연구
-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위험요인
- 대표농도경로를 이용한 영산강ㆍ섬진강 유역의 극한기후 변화전망
- 알코올중독자 청소년 자녀(COAs)가 지각한 일상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
-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분야 교육훈련 효과성에 관한 영향요인 연구
- 구미공업단지의 바람직한 재난관리체계 방안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Occurrence of Foodbone Diseases by Noroviruses in Korea and USA: 2009-2013
- CCTV Evaluation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Crime and Disorder
- Nuclear Security Dynamics in South Asia: India and Pakistan Nuclearisation and Its Implications
- 가능최대홍수량 산정과 적용에 의한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안정성
- 안전복지서비스 증진을 위한 한국정부의 재난관리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군의 위기상황 처리 시 지휘책임에 관한 연구
- 빅 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재난관리전략
- 3차원 CFD 해석을 이용한 정수장 여과지의 환기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