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궁중연향도와 의궤에 나타난 기명류 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urt Banquet Painting and Its Records in the Late Yi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정혜승(Chung, Hye Seung)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식공간연구 7권 2호, 69~82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tabletop element of the dining space presentation and its arrangement shown in the court banquet painting and uikue with a focus o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of the late Yi Dynas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urt banquet, the court banquet painting and uikue of the Yi Dynasty through an investigation into the literature. That is, it attempted to analyze the tabletop elements of eating space presentation and arrangement for its elements through six paintings and their relatde records, such as Kichukjinchando and, Kichukjinchaneuikue, Mushinjinchando and Mushinjinchaneuikue, Jeonghaejinchando and Jeonhaejinchaneuikue, Shinchukjinchando and Shinchukjinchaneuikue, Iminjinyeondo and Iminjinyeoneuiku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1) The tabletop elements expressed in the court banquet can be divided into tableware, cutlery, table and centerpiece. The tableware includes bottles, cups, brass bowels with a lid, hearths, jars and the like and the centerpieces are flower and candlestick. 2) Overall, the tabletop elements for the banquet drawn in the dish-used painting of uikue are understood as repeatedly represented in almost the same form or pattern in any time. I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only the main place for the king, in the court banquet painting. It is necessary to make a comprehensive study of several elements shown in the court banquet painting in the future. Especially, it was impossible to find out the accurate arrangement of tableware, or dishes in the court banquet painting and uikue.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an in-depth study of the arrangement of tableware, or dishes by comparing it with the Korean tableware arrangemen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