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자국(古自國) 지역의 지명 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A place name study of gojaguk(古自國) region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최중호(Choi, Jung-Ho)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37집, 59~79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대국어 시절의 가라 언어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라 언어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가라 지역을 확정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이를 통해 가장 확실한 지역인 고자국(古自國)을 대상으로 가라 언어의 특수성을 판단해 보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가라국 전체의 지역을 확정하여 가라 언어의 모습을 규명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우선, ‘支’, ‘勿’, ‘耶’, ‘蚊火良縣’, ‘固城’이 고자국(古自國)의 대상 지명으로 확정하였다. 이를 통해 가라 고유의 언어는 ‘耶’, 고대국어 전반의 모습은 ‘勿’, 백제의 영향은 ‘支’, 신라의 영향은 ‘蚊火良’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추정은 가라 언어의 모습은 독자적인 언어 기반 위에 신라와 백제의 언어가 절충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tudy about which a name place of gojaguk(古自國), a small nation of gara(加羅) is. In short, a place name study of gojaguk(古自國) was influenced much by baekje(百濟) and silla(新羅). All of these is reflected in a place name. ‘支’/ki/, was influenced by ancient chinese character. A meaning has a sense of ‘城’. ‘火良’ shows a form which is negotiation with baekje(百濟) and silla(新羅). ‘勿’ is distributed nation widely. finally ‘耶’ shows speciality of gara(加羅) language. A final consonant of ‘耶’ is showed a consonant of kind. This must see ancient chinese character influenced.
목차
초록
1. 머리말
2. 고자국 지명 검토
3.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종삼 시의 환상성 연구
- 인문학 융복합 교과 개발-‘고전의 이해와 적용’
-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에 나타난 전경인의 코드와 그 의미
- 1950년대 ≪유모어 소극장≫ 프로그램과 라디오 코미디 드라마의 특성
- 심리형용사 구문의 기본 문형에 관한 연구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 존재론적 성찰과 자기 초월의 윤리로서의 문학
- 근대에 새롭게 등장한 室內遊戱 고찰
- 혁명주체의 실정화와 혁명담론의 주조술
- 고자국(古自國) 지역의 지명 연구
- 부산 자연마을 지명 후부요소 ‘마을’의 변이 연구
- 신학적 문학의 적대에 관한 연구 (2)
- 朴趾源의 詩文學論과 詩文學
- 판본 비교를 통해 살펴본 「토지」의 수정 양상과 서술상의 특징
- 허구화 원리 중심의 서사표현교육 연구
- 1960-70년대 ‘집단기억’과 기억의 재구축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광고 텍스트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