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uangDiNeiJing(黃帝內經)』 「SanBuJiuHouLun(三部九候論)」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Ki-Wook KIM(金基郁) Hyun-Kook PARK(朴鉉局)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9권 1호, 26~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San Bu Jiu Hou is the pulse form at CunGuanChi(寸關尺) as in 『NanJing(難經)』. However, it is totally different in 『HuangDiNeiJing』. This only appears in few chapters of 『SuWen(素問)』 and does not appear in 『LingShu(靈樞)』. SanBu in 『SuWenㆍSanBuJiuHouLun』 refers to top, middle, bottom and each part is divided into 3 parts, Tian(天), Di(地), Ren(人) to form JiuHou, and through Jiu Hou, not only does it diagnose ShenZang(神臟) and XingZang(形臟), but also goes on to form a diagnostic system by fusing diagnostic skill and treatment into one.
「JiuZhenShiErYuan(九針十二原)」 discusses detailed shapes and functions of nine types of acupuncture, and the 「GuanZhen(官針)」 explains how to manipulate Jiu Zhen adequately, but there is more to it than just shape and function in techniques of acupuncture. It is because it fuses (or merges) pathology, diagnostics, treatment etc to form a single diagnosis system. 「JinFu(禁服)」 discusses about nine types of acupuncture of pulse form and effect, which are treatment means based on RenYingCunKouMaiFa(人迎寸口脈法).
Various pulse daignosises exist in 『HuangDiNeiJing』, but those influence of future generations can be divided into SanBuJiuHouMaiFa(三部九候脈法) and RenYingCunKouMaiFa(人迎寸口脈法), and which medical ideologies this kind of pulse daignosis originates from should be discussed.
We will finally explore and report the process its development into 寸尺脈(Cun Chi Mai).
목차
Abstract
Ⅰ. 序論
Ⅱ. 本論
Ⅲ. 結論
Ⅳ. 參考文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男女의 差異에 根據한 男女形象의 醫學的 運用에 대한 硏究
- 『外科正宗』에 기재된 外治療法에 관한 연구
- Gas-Chromatography를 이용한 은교산 전탕시간에 대한 연구
- 『素問ㆍ玉機眞藏論』의 病傳에 대한 考察
- 『黃帝內經』의 刺絡瀉血 치료법에 대한 분석
- 『東醫寶鑑』의 少陽病에 대한 고찰
- 『약징(藥徵)』을 통해 본 길익동동(吉益東洞)의 의학 사상 연구Ⅱ
- 『傷寒雜病論』陽虛証候的辦証論治規律探討
- 『黃帝內經』 三部九候論에 대한 연구
- 인영촌구맥법의 초기 변천 과정
- 『醫宗金鑑ㆍ傷寒論註』 太陽篇에 대한 연구
- 運氣理論의 韓醫學的 適用에 關한 考察
- 從金匱, 金匱彔到仲景金匱彔簡考
- 宋本『傷寒論』版本考辨
- 한의학정보 검색엔진 개발을 위한 시소러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