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부탄의 윤리경영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텐징 라덴(Tenzing Ihaden) 정진철, 최태희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13권 제1호, 143~167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도상국의 윤리경영 수준을 조사하여 선진국과 비교 분석 하는데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중 하나인 부탄(Bhutan)의 주요 기업의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기업윤리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탄 기업의 윤리경영 활동을 한국과 일본의 기업의 윤리경영 행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탄 기업의 관리자들은 한국과 일본 기업의 관리자들에 비교하여 비윤리적 경영행태가 많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부탄 기업의 관리자들은 기업이 종업원들에 대하는 태도에 더욱 심각한 갈등을 겪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부탄 기업의 관리자들은 해당 기업의 윤리경영에 대한 노력이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회사의 이익과 자신의 양심 간에 갈등이 발생할 경우, 한국이나 일본의 관리자들은 개인의 퍼스날리티나 가치관보다 회사의 이익을 좀 더 중요시 하는 집단에고이즘(group egoism)의 특징을 보이는 것에 비하여, 부탄의 관리자들은 상황에 따라 행동을 선택하는 상황주의(situatinalism)의 가치관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업무와 관련하여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였지만, 대부분은 그 내용을 아무 곳에도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이유는 보고하더라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절반 정도의 관리자들은 지난 10년간 부탄 기업의 윤리경영 수준이 변하지 않았다고 생각하였으나, 나머지 절반의 관리자는 윤리경영의 수준이 나아졌다고 응답하였다.
영문 초록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of corporate business ethics (BE) practices in Bhutan as perceived by managers of ten major local corporations, and also compares Bhutanese BE practices to those of Japan and Korea. The results reveal Bhutanese respondents report the existence of unethical practices in the higher proportion than the Korean or Japanese ones, with unethical practices related to the treatment of employees considered most serious. Overall, Bhutanese managers show a relatively high dissatisfaction with their organization's BE effort and appear more situational and relatively more skeptical than their Japanese and Korean counterparts. Almost half of Bhutanese respondents have experience with an ethical conflict, and a vast majority of them decided not to report unethical practices they have experienced mainly because they thought it would not bring any positive effect. Finally, while a half of respondents think that over the last decade ethical standards have been the same, almost a half thinks they have increased.
목차
[요약]
Ⅰ. Introduction
Ⅱ. Previous Studies
Ⅲ. Methodology and Data Description
Ⅳ. Results
Ⅴ. Conclusion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