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egmentation Strategies of Land Category for the Efficient Land Use and Registration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고경원(Goh, Gyeong Won) 박민호(Park, Min Ho) 최승영(Choi, Seung Young_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韓國地籍學會誌 第29卷 第2號, 21~38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목은 토지를 구성하는 요소로 토지의 주된 사용목적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구분하거나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경제ㆍ사회 분야의 발전에 따라 토지를 다양하게 이용함으로써 토지현상을 나타내는 지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도시화, 산업화, 정보화가 짧은 기간 내에 급격히 이루어지면서 지목의 양적인 발전은 다소 이루어졌다고 하겠으나 질적인 측면은 초기의 지목제도의 구성 그대로 단순 표현방법으로 일관하고 있어 발전 수준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목세분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의 연구동향 및 참고문헌, 우리나라 지목 분류체계의 현황, 사례지역 등의 조사를 통한 현행 지목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법으로 지목체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지목분류의 세분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대지목을 통해 추후에 생길 다른 지목의 기준이 되게 하였고, 현행 지목에 현실 지목을 추가시켜 소지목으로 세분화하였다. 세분화된 지목체계가 지목정보로서의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개선안으로 제시된 분류체계와 이에 부합되는 실질적인 토지현황관리 기법을 도입하여 병행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land category as a factor of the land does a very important role when classifying or indicating the type of land, 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the land use. Today with various use of land followed by development of business and society, the land category which shows land phenomena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anks to the rapid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we can say that quantitative development of land is quite notable, however, the qualitative aspects are still staying at the same level due to consistent simple representations as it was in the early days. So this study analyzed the drawbacks of current land category system to suggest measures in subdividing land category referring to some domestic researching trend and bibliographies,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land category dividing system and studies on some example areas. By these analyses, there came some subdividing plans on land category to improve current system in realistic and practical way. Firstly, by large land category, we intended to make it a criteria, and under the establishment of former land category system this study suggests current land categories and segregates them into subcategories. For sub-categorized items to be a valuable land category information, it needs newly categorized items suggested for improvement, and realistic managing techniques for land situation to be adopted and carried out together.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지목제도의 현황
3. 사례지역 분석
4. 지목분류기준에 따른 문제점 분석
5. 지목의 세분화 방안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성영상과 GPS 자료를 이용한 해안선 변화 분석 변화
- 독도통합홍보표준지침의 실효성 제고 방향 연구
- 정부3.0기반 부동산가격공시자료의 활용방향
- 지적재조사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 삼각형 와핑에 의한 지적도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방법 연구
- 아파트 분양과정에서의 인바운드 영향 요인
- 세계측지계 기반 지적기준점망 구축방안 연구
- 해양관리를 위한 해양등록부 설계 연구
- 공인중개사의 윤리성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지상라이다에 의한 건축문화재 역설계의 정확도 분석
- GIS 기반의 대전시 바람길 형성지 평가를 통한 용도구역 지정에 관한 연구
- 주택연금 보증료 구조 다양화에 관한 연구
- 개별공시지가 산정을 위한 토지고저결정 실태 및 개선방안
- 지적재조사 정보시스템의 구축 방향
- VAR 모형을 이용한 주택시장 분석
- 토지의 효율적 이용 및 등록을 위한 지목 세분화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시니어타운 입주의향 영향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PPM모형 기반으로
- 스마트 공간 조성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 가격 민감도분석(PSM)을 통한 사용자의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 공익사업 생활대책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남교산신도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