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egitimacy of the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Tracing Specific Offender's Positional Information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정철호(Jeong, Cheol-Ho) 권영복(Kwon, Young-Bok)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2券 第4號, 244~2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행 「전자장치부착법」상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에 대하여 개관한 후,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와 관련하여 문제되는 법적 논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우선, 이를 위하여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의 헌법적 근거와 법적 성격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이른 토대로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가 이중처벌금지원칙에 위배되는지, 평등원칙에 위배되는지 및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전자감시제도는 형사제재의 일종인 보안처분으로 보더라도 헌법 제13에서 처벌과 보안처분을 구분하고 있음을 볼 때, 형벌로 보기는 어렵고, 따라서 징역형과 함께 전자감시를 한다고 하더라도 이중처벌 금지원칙에는 반하지 않는다. 즉, 전자감시제도와 관련하여서는 이중처벌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기본권 제한적 보안처분의 일종으로서 기본권 제한의 원리인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는지의 관점에서 합헌성 여부가 고찰되어야 하는바, 이러한 관점에서 보더라도, 입법정책적인 관점에서 보완ㆍ개선되어야 할 점은 있다고 할지라도, 전자감시제도를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된다고는 볼 수 없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we dealt with the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stated in the attachment order of electronic device for position tracking, and then discussed legal issues concerned with it. We first reviewed constitutional basis and legal characteristic of the attachment order of electronic device for position tracking, and based on this, we checked whether the attachment order of electronic device for position tracking is against the principle for forbidding double punishment,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the anti-overrestriction.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현행법상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
Ⅲ.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의 정당성: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의 위헌성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도소 재소자의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피의자신문과정에서 허용될 수 있는 책략의 범위
- 여성안전 방범서비스를 통해 본 민간경비와 공공기관의 협력에 관한 연구
- 사이버 침해 사례 분석을 통한 위기 대응방안
- 특정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 전자감시제도의 정당성에 관한 고찰
- 경찰과 민간경비의 상호협력 태도와 활동에 관한 인식 연구
- 민간경비원의 범죄사례 분석을 통한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체미(滯美)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 연구
- 대리운전의 법적 문제와 입법의 필요성
- 경찰 공권력 수긍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국회 경호공무원과 민간경비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요인 비교연구
- 치안대응력 제고(提高)를 위한 지역경찰활동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