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부 3.0정책 구현을 위한 선제적 민군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이용수  283

영문명
Pre-emptive Military-Civilian Conflict Management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Government 3.0.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박길수(Kil Su Park) 박효선(Hyo Su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호, 139~162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1.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재 군 주둔지역의 주민과 지자체는 지역 주민의 재산권과 생활권 보장을 주장하며 군부대 신설 반대와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군은 막대한 국방 예산 손실과 갈등 유발 및 전투력 손실이 발생되어 민군 갈등관리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에서도 갈등관리를 위한 전담조직의 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시책을 수립하고 통합적인 갈등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갈등예방과 갈등발생 수준 판단 등이 체계적이고 구체화 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민군갈등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민군갈등 이론을 토대로 정부 3.0정책의 패러다임 측면에서 갈등관리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연구의 틀을 정립하고, 공공갈등관리시스템과 기존의 민군갈등관리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선제적 민군갈등관리시스템을 도출하였다. 이 시스템은 조직, 절차, 교육이라는 3가지 축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조직측면에서는 갈등관리실무 및 심의위원회, 갈등대응시스템, 갈등요소 분석체계로 구성되었으며 둘째, 절차측면에서는 군 조직 특성에 적합한 갈등과제 선정 및 관리, 업무협조절차 등으로 구성하였고 셋째, 교육측면에서는 갈등관리실무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맞춤형 갈등관리 교육체계로 구축하였다. 이러한 선제적 민군갈등관리시스템은 전방향 협업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똑똑하고(Smart) 전문성이 있으며(Skill), 소통 및 협업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서(Synergy) 국방정책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Solution), 국민에게 최고의 국방서비스를 제공하여 (Service) 정부 3.0정책 패러다임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민군갈등관리 체계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urrently, in areas where the military is present, residents and municipal governments claim their property rights and living standards that go as far as opposing the installation of new units and the removal of existing military presence. Therefore, the military needs to reexamine their conflict management methods as huge defense budget losses, rising conflicts, and dwindling combat strength is expected to occur. Accordingly, the MND has established a comprehensive remedy by creating branches to exclusively deal with dispute resolution and capacity augmentation, and managing an integrated conflict resolution system. However, the anticipated effect, conflict prevention and assessment of actual conflict is not yet systemized or crystallized. Thus,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military-civilian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seek remedies to the said limit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effect, we review the M-C conflict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M-C relations and compare publ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M-C conflict management system to suggest a new M-C crisis control system. This research yielded a new M-C CCS under the framework of organization, procedure and education. From the organization dimension, we were able to compose a conflict management practice/council, conflict response system, and conflict element analysis system; from the procedural aspect, conflict task selection and management tailored to military organizational traits, and business cooperation protocol; from the educational dimension, conflict resolution training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working level staff. Preemptive M-C CCS will promote an omni-directional Smart and professional cooperation system, Synergy, Skill, successful Solution toward national defense policies, and the optimum national defense Service to the Korean people and hence realize the Government 3.0 paradigm.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공공갈등관리와 민군갈등관리의 비교분석
Ⅳ. 선제적 민군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Ⅴ.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길수(Kil Su Park),박효선(Hyo Sun Park). (2014).정부 3.0정책 구현을 위한 선제적 민군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10 (1), 139-162

MLA

박길수(Kil Su Park),박효선(Hyo Sun Park). "정부 3.0정책 구현을 위한 선제적 민군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10.1(2014): 139-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