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RGM을 활용한 재난안전 유관기관 간 협력연결망 분석
이용수 356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Collaborative Network Mechanism in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Focusing on the Network Structural Variables with ERGM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서인석(In Seok Seo) 이동규(Dong Ky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1호, 105~124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1.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난안전 협력연결망이 기관간에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존속에 대한 연구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 즉, 과연 그 연결망이 어떻게 형성된 것일까? 어떤 이유로 형성되고 지속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까? 등에 대해 설명할 방법은 사실상 없었으며,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재난안전 협력연결망의 존속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ERGM방법에 기초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호혜성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추정치 역시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즉, 호혜적 관계하에서 재난안전 연결망은 형성 및 지속성을 띨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재난안전 연결망을 지속하기 위해 호혜적인 관계에 대한 적실한 보상과 여건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확산경향은 연구가설인 정(+)의 관계와 대립되는 부(-)의 관계성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선행연구들에서 확산경향은 변수의 방향이 본 연구와 동일한 (-)의 방향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이 변수가 이론가설과는 다를지라도 장기적으로 신뢰의 지속성에 대한 상실의 관점에서 네트워크의 지속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경쟁가설이 제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확산경향에 대한 검증은 향후 많은 연구를 통해서 검증하고 타당성을 논의해야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인기도는 역시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모든 모형에서 가설방향과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향후 정부 및 지자체는 재난관련 기관들 중에서 사회적 명망이 높은 기관들을 선별하고 이들의 적극적인 재난안전 연결망 참여를 촉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모형에서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이행성 역시 가설의 방향과 일치되는 결과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 즉, 이행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한국의 재난안전 협력연결망은 형성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이행성이 증대한다면 재난안전 협력연결망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o the continuity of the network which is necessary for continual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Disaster Management Collaborative Networks between agencies.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formation and continuity of networks, so that this paper tried to analyse Korean Disaster Management Network based on the ERGM method in order to examine existence of the network.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 reciprocity variable is significant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disaster management networks are formed and continued in reciprocity relations. Second,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models, and the result shows the popularity accords with hypotheses. Therefore, governments need to sort out the reputed agencies, and induce agencies to participate in networks. Third, it is found that transitivity also accords with hypothesis, although transitivity could not be confirmed in all models. However, the diffusion tendency is confirmed that i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hypothesis, along with the results of preceding researche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논의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References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인정보보호법과 관련 법률의 체계문제
- 군사정책결정과정 분석
- 정부 3.0정책 구현을 위한 선제적 민군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 GIS의 확률론적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분석
- 제세동 가능한 심정지 환자의 병원 도착 전 자발순환회복에 미치는 영향
- ERGM을 활용한 재난안전 유관기관 간 협력연결망 분석
- 자연에 대한 인식,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위험인식 및 위험 심각성의 관계
- 교도소 재소자의 자살방지를 위한 건강 체크제도의 시사점
- 재난 시 인간을 보호할 국가의 의무
- 도시지역 저소득층 여성노인의 우울과 위험요인
- 고층건물의 계단층에서 피난 및 제연에 관한 연구
- 소방방재청장의 정책 가치지향을 통해본 재난관리정책의 변화 추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Predicting Hotel Economic Trends Using Machine Learning and Time Series Analysis Models
- 지방의원의 대의역할 인지와 의정활동 관계 연구: 경기도 대도시 기초의회 의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ew Quality Productive Forces and the Logic of China’s Sustainable Transformation: Focusing on Policy Discourse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