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에서의 자살 사후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04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icide Postvention at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바올(Baole Choi) 서영석(Young Seok Seo)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미래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1~31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명인이나 주변인의 자살은 남은 사람들에게 매우 크고 파괴적인 영양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살 사후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연구한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또한 국내외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살 사후개입(suicide postvention)이라는 키워드로 관련 연구물과 프로그램을 검색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자살사건이 발생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초등학교 자살 사후개입 프로그램(Korean Post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KPPE)을 제시하였다. 특히, Roberts 등(1998)이 개발한 TEAM 접근법을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자살 사후개입에 지니는 의의와 제안점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A close person's or celebrities' suicide has vast and devastating effects on suicide surviv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based postvention program especially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s. The literature on children's perceptions of death was reviewed, and Korean Post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KPPE), a school-based postvention program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TEAM approach developed by Roberts et al.(1998).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선행프로그램 분석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6 Contents
- 发端·重点·旨归·超越:马克思早期意识形态批判思想探赜
- 马克思民主思想及其当代价值——基于《法兰西内战》文本分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