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14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Origami Clas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on Children's Creativity, and Spatial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선혜(Choi, Sunhye) 모화숙(Mo, Hwasook) 하대현(Ha, Daehy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113~137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을 초등학생에게 실시하고 그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공간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여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2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아동에게 12주 동안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설계에 따라 종이접기 수업이 창의성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은 창의적 산물의 경우 측정시기에 따른 평균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인성점수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후검사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공간능력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순서와 규칙에 따라 정확하게 접는 것을 중요시 하는 기존의 종이접기 수업과 달리 다양한 아이디어의 발상을 돕는 SCAMPER 기법을 적용한 종이접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을 능력, 인성, 산물 평가 측면에서 모두 향상시킨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과 그 수업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experimental research aims to verify if the SCAMPER technique used in origami class will improve the creativity and spatial ability in children. The main focus of this experiment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creative education, which is increasing in popularity. For this purpose, an origami class was organized and taught using the SCAMPER technique to help to generate various new ideas, unlike the existing origami classes, which stresses the accuracy of folding according to the rules provided. Moreover,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created products was conducted along with a psychometric assessment to see whether the teachings of the origami class were still present for one to two months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origami clas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eativity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origami class product evaluat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effect lasted even longer than one or two months than previously predicted. In addition, i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f scores in not only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but also in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s. However, according to the scores of the RAVEN test, which measures spatial 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s. Based on the final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AMPER technique positively affects the creativity in children, but not their spatial ability.
목차
요약
Ⅰ. 서언
Ⅱ. 이론적 배경
Ⅲ. 방법
Ⅳ. 논의 및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사소통능력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 학사경고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과 동료 멘토링의 효과
- 중학생의 다중지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 경향점수를 활용한 남녀공학 효과 분석
- 좋은 대학수업의 특성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 사교육 발생 구조 탐색
- 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성격 및 성별의 종단적 효과
-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지역화의 재방향 설정
- 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 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 효과
- 상이한 수업 관찰 도구를 통해 드러나는 교사들의 인식 이해
- 인성의 의미와 인성교육의 방향에 대한 소고
- 방과후 초등학교 수준별 영어학습 참여의 효과
-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참여방법에 따른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네트워크 분석
-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 교육연극을 활용한 성매매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 문화예술교육 효과의 지속성 연구
- 다중지능 프로그램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교수학습방법으로써의 교육연극 활용 사례연구
-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 예비교수와 신임교수를 위한 <대학교수법 코스> 개발 실행연구
- 학교상담 환경에 따른 상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비교
- 구성주의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실태조사 개선을 위한 시·도 교육청 담당자의 인식 분석
-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기관 종사자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 효과성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