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Functional Status of Joint in Wome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연하(Kim, Yeon Ha) 김명애(Kim, Myung Ae)
- 간행물 정보
- 『간호와 보건과학』제15권 제2호, 11~2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obesity and functional status of join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functional status of joint in wome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of 120 community osteoarthritis patients in D metropolitan city in Korea, from Oct. 3rd to Nov. 20th, 2011. Obesity was measured body mass index(BMI) and waist to hip ratio(WHR). Korean-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K-WOMAC) was used as a functional status of joint. Result: The mean item score of BMI was 24.64 and obese group(BMI ≥ 25kg/㎡) was the most common. 72.5% were abdomen obese group(WHR ≥ 0.85), the average score of WHR was 0.8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MI and K-WOMAC subscale{pain(r= .321, p= .017), stiffness(r= .373, p= .005), difficult of ADL(r= .420, p= .001)}, K-WOMAC total score(r= .413, p= .00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HR and K-WOMAC subscale{stiffness(r= .334, p= .002), difficult of ADL(r= .246, p= .021)}, K-WOMAC total score(r= .233, p= .030). Conclusion: Obesity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unctional status of joint of osteoarthritis patients. Interventions designed to promote weight loss and exercise in obese people who have osteoarthritis have demonstrated clin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ymptoms and disease risk factor.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가상현실 기반 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아동 부모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