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가정 상호작용과 참살이(well-being)와의 관계
이용수 937
- 영문명
- The Work-Family Interface and Its Relation to Well-Being: The Role of Positivity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이명신(Myung Sin Yi)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1권 제3호, 371~41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활성화, 맞벌이 가족의 확대, 삶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으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뿐만 아니라 촉진의 측면까지 고려하여 어떻게 하면 구성원들이 겪는 갈등은 최소화하고 촉진은 극대화하여 삶의 질과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갈등을 중심으로 한 부정적 관점의 연구 편향성을 보완하기 위해 POB(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관점에서 일-가정 상호작용의 긍정적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금융 및 제조업에 종사하는 8개 조직의 남녀 화이트 칼라를 대상으로 일-가정 상호작용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정서는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갈등(Work-to-Family Conflict: WFC)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갈등(Family-to-Work Conflict: FWC)은 감소시키고,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촉진(Work-to-Family Facilitation: WFF)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촉진(Family-to-Work Facilitation: FWF)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의 경우 차별적 기능론에 따라 일영역에서의 조직지원은 WFC를 감소시키고 WFF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이외의 영역에서의 가족지원은 FWF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FWC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촉진도 차별적 기능론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직무만족, 가정만족, 생애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FWC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줄어들고, FWF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졌다. 반면, WFC는 가정만족을 감소시키고 WFF는 가정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FC와 FWC가 높으면 생애만족은 감소하였다. WFF는 생애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FWF와 생애만족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work-family balance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an area for serious academic study.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are wrestling with how best to adapt to a growing female labor force and the prevalence of dual income families, along with the related life valu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se socio economic shifts. Spurred on by these trends, research on work-family balance, defined as low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in combination with high levels of work-family facilitation, tends to focus on addressing quality of life issues as they affect employe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improve employees’ quality of life and performance through minimizing conflict and maximizing facilitation, by considering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facilitation in detail.
After two decades of work–family literature dominated by the conflict perspective, there is increasing impetus for exploring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Recent research in the emerging fields of positive psychology and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POB) reflects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positive aspects of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Fredrickson’s (2001) broaden-and build theory states that experiences of positive emotions broaden people’s momentary thought-action repertoires, which in turn serves to build their enduring personal resources, ranging from physical and intellectual resources to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In an effort to redress the balance of organizational research toward a POB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ositiv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the work-family interface. This study further used the discriminant function in evaluating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because for each direction of conflict and facilitation, antecedents exist in the originating domain of the conflict whereas the outcomes exist in the receiving domain (Frone et al., 1997; Wayne et al., 2004).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hypotheses, marking antecedents and outcomes as work family conflict (WFC), family work conflict (FWC), work family facilitation (WFF), and family work facilitation (FWF):
H1: Positive Affectivity is negatively related to WFC and FWC and positively related to WFF and FWF.
H2: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WFC and positively related to WFF.
H3: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FWC and positively related to FWF.
H4: FWC is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FWF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H5: WFC is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Satisfaction and WFF is positively related to Family Satisfaction.
H6: WFC and FWC are nega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nd WFF and FWF are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survey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life interface and its antecedents and outcomes collected from ____ white collar workers from eight banking and manufacturing companies, the study results generally supported our theoretical predictions. First, positive affectivity was related to less work-family conflict (WFC, FWC) and greater work-family facilitation (WFF, FWF). Positive affectivit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degree of conflict and facilitation experienced. Thus, employees’ levels of conflict and facilitation are not only a function of work and family circumstances, but also reflect individuals’ contributions.
Second, organizational support at work was related to less WFC and greater WFF. Family support outside of work was related to greater FWF, whereas family support outside of work was not related FWC contrary to expectations. It seems that family support still does not help resolve FWC in Korean workers’ experience. Howev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organization or family-led social support is helpful in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ing work-family facilita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윤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본주의의 미래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 경영 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과 그 진화
- A Multidimensional Model of Institutional Embeddedness: The Adoption of Unconventional Therapies by Conventional Hospitals
- 공공-민간 경영 패러다임의 융합적 전환
- How Performance Matters: The Impact of Multi-Level Performance Framing on Competitive Behaviors
- 위기의 자본주의
- 서론 : 경영 패러다임 변화의 현상과 해석
- 기업과 시장의 구별짓기
- 상호작용 공정성과 과업성과
- 일-가정 상호작용과 참살이(well-being)와의 관계
-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