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기의 자본주의
이용수 1,146
- 영문명
- Capitalism in Crisis: New Thoughts on Management and Organization Theorie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유태영(Taeyoung Yoo) 권석균(Seog-Kyeun Kwun)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1권 제3호, 195~22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의 금융위기와 이에 따른 경기침체는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위기의식과, 기업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경영활동에 대한 비판을 불러왔다. 이에 대하여, 거시적 관점에서 비판적 정치경제학, 자본주의 4.0, 다원적 자본주의 이론, 그리고 미시적 관점에서 이해관계자 이론, 사회책임 경영, 공유가치 경영 등의 여러 대안이론이 제시되었다. 대안이론에 따라 그 중요성이 다르기는 하지만, 공공부문과 민간의 공조의 필요성과 상호관련성을 강조하고 기업의 목적과 기능을 확장하여 신자유주의 관점을 극복하려는 입장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거시와 미시의 이론적 주안점에 차이가 있어 자본주의의 위기현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통합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특히 기업의 사적이익과 사회의 공공이익 간의 괴리를 극복하는 방법에서 각각의 경직된 논리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대안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나아가서 이들 논거를 통합, 보완하여 새로운 자본주의와 경영의 원리를 모색하였다. 기존 대안이론들에서 논점의 차이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미시-거시의 차원과 경제적 행위의 수단과 결과 간의 갭에 주목하여 기존 대안이론들을 재분석 하고, 미시적 수준에서 기업의 행동원리(수단)와 목적을 구분하여 거시적 수준의 자본주의 체제 논의와 연계시켜 새로운 대안의 논거를 마련하였다.
구체적으로, 수단 측면에서 다양한 행위기준이 국가경제와 시장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고 결과 측면에서는 다양한 목적 가치들이 기업행동을 유인하는 목표로 채택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행위기준의 복합성과 목적가치의 다양성은 보편주의와 특수주의의 통합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기존의 대안이론들이 수단과 목적 간에 밀접한 연계성을 가정하고 있는데 반해 본고에서는 이들간에 느슨한 연계성이 요구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기업의 목적과 행위의 원리 및 조직운영이 실제 다양한 양식(varieties of firms)으로 실현될 것이며, 경제 체제 역시 여러 가지 형식으로 다원화(extended varieties of capitalism)되어 나타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ecent global economic recession has inspired revolutionary thinking regarding the fate of capitalism. Has neoliberal capitalism had its day? Will our system based so heavily on market competition and efficiency need to evolve, or has it already? Certainly today’s reality of persistent, pernicious poverty and inequality has added fuel to an already contentious macroeconomic discussion. On the microeconomic front, too, the last few years of corporate scandals have caused many to stop and ask, what are appropriate corporate behaviors, and how can they be encouraged? Should firms consider general social welfare in pursuit of shareholder value maximization? What management theories and practice are available to address the competing objectives of the firm in distressed global economic conditions? These two emerging areas of concern – one global, one firm level – taken together are the current crisis of capitalism.
In response to these fundamental questions, each economic school has provided a wide array of responses and perspectives. In macro-economic circles, critical political economists argue that the fatal and unrecoverable pitfalls of capitalism necessitate an alternative economic system beyond both capitalism and communism(Hobsbawm, 2011). Evolutionary theorists echo this sentiment, suggesting that market-based capitalism should be replaced by a new system in which cooperation and adjustment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key factors for public welfare(Kaletsky, 2010). In counterpoint to these views, pluralist economic system thinkers, namely varieties of capitalism theorists, do not clearly suggest an alternative system to the current liberal-market economic systems(Hall & Gingerich, 2009; Hall & Soskice, 2001). In the wings of this debate, however,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coordinated-market economic systems(Whitley, 1999) and the sustainability of state-led economic systems(Schmidt, 2003) shed lights on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iberal-market economic systems. In these, we find an energized, complex body of macroeconomic literature attempting to diagnose and solve our crisis of capitalism.
From the micro-economic perspective, the debate between enlightened shareholder orientation and stakeholder theory has dominated recent discourse. On one hand, an enlightened shareholder orientation suggests overcoming the ills of capitalism by consolidat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hareholders' value maximization(Jensen, 2001). On the other hand, stakeholder theory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shareholder value maximization and alternatively suggests the coordination of diverse stakeholders' interests to remedy capitalism’s maladies with respect to the firm(Freeman, Wicks, & Parmar, 2004). Stakeholder theory argues that by considering all stakeholders’ interests in corporate activities and management decisions, firms will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and reputation, and promote sustainable growth. The shared-value approach is an extension to this view,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shared values between corporations and society in addition to the consolid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Porter & Kramer, 2011). The shared values can help corporate profits and growth to thrive. The alternative suggestions above require corporate goals and theories to adapt to the ever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s.
These two different approaches in the literature – macro and micro economic – have relied on their own respective field views for support and validation, and therefore have not achieved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fixing the crisis of capitalism. The solutions in the literature are based on either macro-economic or micro-economic perspectives,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drawn from their theories are thus somewhat myopic. Literature that discusses the ethical dimension of corporate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자본주의 대안이론과 그 비판
Ⅲ. 기업과 경영의 대안이론과 그 비판
Ⅳ. 새로운 대안의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윤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본주의의 미래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 경영 패러다임의 사회적 기원과 그 진화
- A Multidimensional Model of Institutional Embeddedness: The Adoption of Unconventional Therapies by Conventional Hospitals
- 공공-민간 경영 패러다임의 융합적 전환
- How Performance Matters: The Impact of Multi-Level Performance Framing on Competitive Behaviors
- 위기의 자본주의
- 서론 : 경영 패러다임 변화의 현상과 해석
- 기업과 시장의 구별짓기
- 상호작용 공정성과 과업성과
- 일-가정 상호작용과 참살이(well-being)와의 관계
-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