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차별기능 분석시 기준문항의 편향으로 인한 문제에 대한 평균공분산구조모형 척도법을 이용한 대안적 접근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재훈(Jaehoon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6권 제3호, 669~69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측정동일성은 유의미한 집단비교를 가능케 하는 검사지의 한 특징으로서 심리학 및 교육학 분야의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검사지 내 기준문항이 집단 간 동일하게 작용하지 않으면 이는 문항수준에서의 측정동일성, 즉 차별기능에 대한 부정확한 추론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은 effects-coded 척도법을 차별기능 분석을 위한 평균공분산구조모형에 적용시켜, 이러한 기법이 기준문항의 편향으로 인한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연구결과는 effects-coded 척도법이 기존의 marker-variable 척도법보다 선호되지만 추가연구가 보완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Measurement invariance is a critical issue i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research because it is  often required for meaningful group comparisons. A designated, unbiased anchor is desired for any invariance analysis, because the bias in an innocuously chosen anchor may lead to erroneous  conclusions about item-level invariance, or equivalently,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This article presents an application of the effects-coded scaling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marker-variable scaling in mean and covariance structure (MACS) DIF analysis. By means of Monte Carlo simulation, this article examined if this new approach possibly leverages the problems of a biased anchor. Simul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coded method provides some favorable outcomes over the marker-variable method bur more research is needed to refine MACS DIP analysi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atrical Background
	                       
	                          Ⅲ. Methods
	                       
	                          Ⅳ. Result
	                       
	                          Ⅴ .Conclusion
	                       
	                          References
	                       
	                          <요 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유형에 따른 성취도 격차의 양상과 발생요인
 -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Scale-Setting in MACS DIF Analysis
 - 연속형 변수가 모형화될 때 Hosmer-Lemeshow 검정을 이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모형적합도
 -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경로 분석
 - Incongruity of the RSM-based knowledge state estimates of an individual and dealing with the incongruences
 - 인지 진단 평가 모델 비교 연구
 - 혼합형 검사에서 IRT문항모수와 기저 능력분포의 동시 추정이 문항모수 추정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농촌 소규모 학교의 장소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고찰
 - 교육공무원법 개정(하늘이 법)을 둘러싼 인식과 정책 논증 분석
 -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전이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진화와 전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