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PA분석을 활용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컨설팅장학 활성화 방안 탐색
이용수 235
- 영문명
- Exploring the Ways to Activate Consultative Supervision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rough IPA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인회(Lee, Inhoi) 연순동(Youn, Soondo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1집 제3호, 77~1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의뢰인이 인식하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컨설팅장학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컨설팅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도교육청에 소속된 교원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뢰인은 현재 제주도교육청이 컨설팅장학을 실행하는 5가지 영역 가운데 컨설턴트와 관련된 컨설턴트의 컨설팅장학 과정 지원 역량, 컨설턴트의 내용전문성과 방법전문성 영역은 잘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나아가 교육청의 컨설팅장학 지원 영역은 오히려 과잉적으로 실행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교육청은 이에 대한 노력을 교육청의 컨설팅장학 시스템 구축으로 이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컨설팅장학 시스템 구축에 관한 항목 중에서 의뢰인이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가장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는 5가지 세부 항목 가운데서도 ‘우수한 컨설턴트 인증 시스템’에 대해 가장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셋째, 제주도교육청이 컨설팅장학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제주도교육청의 독자적인 홍보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ways activating consultative supervision (CS)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J-POE) by analyzing the consultee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S. To do so, a survey was employed, and the population were 183 teachers who worked in J-POE.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unsultees perceived that those areas such as the support for consultants during the consulting process, and consultants’ professionalism of both contents and methods out of five areas were taken good care of through J-POE, but the supporting area of J-POE had been overdone. Therefore, it was suggestive that J-POE should transfer its efforts and supports from those three areas to the area of restructuring CS system. Second, building an ‘accredation system for excellent consultants’ would be the first priority out of the five items to be focused upon. This is because the counsultees perceived seriously that the importance overdone the performance in this area. Third, it was suggestive that J-POE should build an unique public information system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CS system.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PA를 활용한 교사의 생활지도 역량 분석
-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안 탐색
- IPA분석을 활용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컨설팅장학 활성화 방안 탐색
- 중고등학생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에 따른 시간관리 능력과 시간관 차이 및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
- 국내 장애아 상담연구동향 분석
- 혼합연구 설계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한 단계별 전략
-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 방안 탐색
- 한국의 초 · 중등교육 책무성 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
-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평가 매뉴얼 개발 연구
- 시간 관리 전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