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Needs of Therapists for Effective Therapeutic Support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손가화(Son, Ka Hwa) 이병인(Lee, Byoung I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7권 제2호, 119~14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 담당 치료사의 치료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한 장애인 복지관, 의료기관, 사설기관 등에서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치료지원을 실시하고 있는 치료사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영역별 치료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사들은 발달지체유아에게 언어치료가 가장 필요하며, 치료지원은 전문기관에서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치료지원을 제공할 때, 유아의 현행수준을 고려하여 부모와의 IEP 회의를 통해 치료지원을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치료사의 요구와 관련하여 치료사의 자질은 치료지원영역에 대한 전문성이 중요하며, 치료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치료사 확보 및 전문성 함양과 부모의 치료비용 부담의 감소를 언급하였다. 발달지체유아에게 효율적인 치료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협력체계 방안으로는 치료사들의 상담시간 확보, 부모와 교사를 위한 지원, 기관간 협력에 대한 요구를 하였으며, 또한 행정적 지원으로는 경제적 지원, 치료사 배치에 대한 지원, 시설 환경 평가, 추후관리, 전달 체계에 대한 요구와 제도적 지원으로는 고용문제, 보수교육, 경력에 따른 차등대우, 치료사의 자질 개선을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needs of therapists in charge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o suggest practical therapeutic suppor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62 therapists performing treatment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nterviewed 4 therapists, each from a different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anguage therapy was most needed for these children and therapeut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a formal organization.
  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rapeutic support, it should be decided through the IEP meetings with parents considering children's current level of functioning.
  The qualification of the therapists was thought to be important for their expertise or specialty. And ways of activating therapeutic support were suggested as follow: cultivation of enough therapists, facilitation of specialty and with little stress of parents on cost of treatment. Cooperative systems for providing effective therapeutic support were also suggested as follow: accommodation of the therapist's office hours, supports for parents and teachers, cooperation between agencies.
  Finally, financial support, support for placement, evaluation for facility-environment, follow-up management, needs for service delivery were suggested f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also employment, supplementary education, differentiated treatment with career, support for improving qualification of therapists were answered for systematic support.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 동료상담가 역할의 범주화
- 연하장애 환자의 턱밑근 근력 운동이 연하기능에 미치는 효과
- 정상노화와 병리적 노화에 따른 발화 특성
- 지체장애인, 청각장애인 및 일반인의 의사소통 삶의 질 비교
- 대학생들이 지각한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 시 · 도별 특수교육 전공 전문직 배치와 특수교육 예산 및 특수학급 설치율 조사
-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의사소통이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가상현실 기반 운동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 여성장애인 취업에 관한 고용주 인식 연구
- 일상생활동작 훈련실 설치현황, 이용현황 및 치료사의 요구에 관한 연구
- 효율적인 발달지체유아 치료지원을 위한 치료사의 요구 및 개선 방안 연구
- 유형재편 후 직업재활시설 중증장애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 Disaster Risk Reduction and Disability
- 의사소통장애 성인을 위한 국내외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 뇌졸중 환자의 상하지 복합운동 및 체중부하 운동이 입각기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지체장애아용 기립보조기 소재 및 설계요소 변화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분석 연구
- 장애인의 우울궤적 관련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보육활동 침해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경험과 보호체계 요구
- 영유아교사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 교사 1인당 아동 수 개선 이후 보육교직원의 인식 변화: 서울시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