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숲 체험활동이 어린이집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312
- 영문명
- The Effect of Forest Activities on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최금숙(Choi, Gum Sook) 최인화(Choi, Inhwa)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7권 제1호, 27~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숲 체험활동이 어린이집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유아 26명으로,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7주간 14회의 숲 체험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일상적인 표준보육과정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ITSEA)이며 교사와 부모가 각각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교사의 평가에서는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전체적인 사회정서발달에 효과적이었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숲 체험활동을 통해 유아의 유능성은 증가하고 내면적 문제행동, 외현적 문제행동, 부적응 행동은 모두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의 평가에서는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의 하위 영역 중 내면적 문제 행동과 외현적 문제 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f forest activities affect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volved 13 three-year-old young children (in five-year-olds class) who never participated in forest activities at child care centers, 26 in total. forest activities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wice a week for seven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child care curriculum standards. The Infant-Toddler Social and Emotional Assessment (ITSEA) was utilized for pretest and posttes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by teachers, forest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the overall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In the subcategories, competency grew, and all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maladaptive behaviors were less frequen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by parents, forest activities effectively reduce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subcategories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들의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개인특성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 영유아 어머니의 포괄적 보육서비스 욕구와 인구학적 요인과의 관계
- 다문화가족아동의 정서와 사회적응실태 연구
-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환경관 탐색
- 숲 체험활동이 어린이집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시각장애유아 민준이의 어린이집 사회적 통합과정
- 또래관계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정서표현과 또래의 정서표현에 대한 유아의 반응
- 쌓기놀이 활동 갈등해결 시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교사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