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가트렌드 분석을 통해 예측한 외식상품의 미래

이용수  1,916

영문명
Expectation of Domestic Food Service Industry through Analysis of Mega-trend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마정아(Ma, Jeong-A) 손미희(Son, Mi-Hee) 조현영(Cho, Hyun-Young) 김종근(Kim, Jong-Keun)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0권 제3호, 51~6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면서 외식에 대한 중요성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연간 약 70조에 이르는 거대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미래 외식산업의 잠재력은 쉽게 판단되지 않을 정도이며 미래 사회, 문화 및 기술발전이 밑바탕이 되어 외식산업의 성장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이토록 외식산업의 미래가 밝은데도 불구하고 현재 외식 연구 분야에서 미래의 외식산업을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대한민국의 외식을 예측하여 현재의 외식산업이 발전할 방향을 예측하고자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미래 시점으로서 10년 후를 가정하였다. 먼저 현재 외식산업의 모습을 분석한 뒤 2011년 외식산업의 키워드를 정리하였는데 크게 한식의 세계화, 치열한 저가전쟁, SNS 마케팅 확산 그리고 웰빙의 지속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는 10년 후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메가트렌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사회ㆍ기술ㆍ경제ㆍ환경ㆍ정책(STEEP)을 예상하고 메가트렌드를 예측하였다. 사회(S)분야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이 일상화 되는 네트워크 사회가 등장하고, 새로운 가치관을 추구하는 사회구성원들의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소득수준의 증가와 함께 삶의 질 추구경향이 계속된다. 기술(T)분야에서는 IT, BT, NT,ET를 의미하는 4T의 발전과 IT가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발전하는 IT융ㆍ복합이 이루어질 것이다. 경제(E) 분야에서는 양극화로 인한 소비패턴의 변화가 예상되고 지식기반 경제와 같은 경제 신 패러다임이 등장할 것이다. 환경(E) 분야에서는 자원고갈로 인한 에너지 위기와 개인의 건강과 사회를 함께 생각하는 경향이 생길 것이다. 정책(P) 분야에서는 여성의 사회진출과 기업들의 CSR 활동을 지원하는 국가지원 그리고 소비트렌드에 영향을 미칠 양극화의 심화가 예측된다. 마지막으로 4개의 2011년 외식 키워드와 11개의 10년 후 미래의 메가트렌드를 접목시켜 최종적으로 미래 대한민국 외식상품의 모습을 7가지로 유추하였으며, 1인식의 발달, 스마트 테이블의 보급, 외식 소비트렌드의 양극화, 패스트푸드 개념의 변화, 식품클러스터, CSR의 정착, 한식의 세계화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eating out increases rapidly with increasing the level of incomes and the entry of women in public affairs. As it grows huge industry about 70 trillion every year, the potential of food service industrymay be infinite. Especially, globalization, social network service(SNS), smart-technology make possible the endless growth of food service industry. Even though it has a lot of potential, the study of food service industry's future is not sufficient. So this research will predict the korea's eating out in 2020 and then it will give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We analyzed our current food service industry and predict the mega-trend in 2020 based on the expectation of the Society, Technology, Economy, Environment, Policy(STEEP). And then, we infer the future of food service industry from this research data. I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development of single foods, dissemination of smart table, polarization of consumer's consumption, changes in the concept of fast-food, food Industry luster, establishme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globalization of Hansik.

목차

요약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마정아(Ma, Jeong-A),손미희(Son, Mi-Hee),조현영(Cho, Hyun-Young),김종근(Kim, Jong-Keun). (2012).메가트렌드 분석을 통해 예측한 외식상품의 미래. 상품학연구, 30 (3), 51-62

MLA

마정아(Ma, Jeong-A),손미희(Son, Mi-Hee),조현영(Cho, Hyun-Young),김종근(Kim, Jong-Keun). "메가트렌드 분석을 통해 예측한 외식상품의 미래." 상품학연구, 30.3(2012): 5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