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제품 구매 시 시간 거리 인식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용수 541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emporal Distance on Consumer's Responses: Perceived Risk,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김소정(Kim, So-Jung) 김형준(Kim, Hyung-Ju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0권 제3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석 수준 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을 바탕으로 신제품 구매를 고려하는 시간적 거리 차이가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지각된 위험,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와 이러한 영향관계가 신제품의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자고 하였다.
신제품의 태도에 대한 기존 연구는 해석 수준이론에서 제시하는 결과와 일치하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었으나 신제품의 유형을 혁신성에 따라 구분하여 이루어진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해석 수준이론을 기반으로 신제품의 유형과 소비자의 성향 차이에 따른 시간 거리 인식과 소비자의 태도에 대한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시간 거리 인식과 신제품태도간의 영향관계가 신제품의 유형(RNP vs. INP)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2번의 실험으로 이루어진 실증연구결과, 신제품의 구매를 고려하는 시간적 거리가 다를 때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신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은 가까운 미래에 신제품에 대한 선호도 먼 미래에 더욱 긍정적 평가되어 신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 또한 먼 미래 구매 상황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해석 수준이론에서 제시하던 결과와 일치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핵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신제품 유형에 따른 시간 거리 인식과 신제품태도의 관계가 신제품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한 실증연구결과에서는 RNP의 경우 지각된 위험이 가까운 미래에 높게 인식되고 먼 미래의 상황에서는 지각된 위험이 매우 많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가까운 미래에서는 RNP제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 도가가 낮았으나 먼 미래에서는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하지만 INP제품의 경우는 시간 거리에 따른 INP제품에 대한 태도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시간 거리와 신제품태도의 관계가 소비자가 제품의 혁신성을 얼마나 인식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n consumer's attitudes, such as perceived risk,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new products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CLT).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test empirically about the interaction effects of new product types(Radical New Product vs. Incremental New Product)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Promotion vs. Prev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consumer's new product attitudes. In short, this research aimed to focus on themoderating role of the newproduct types when the consumer consider buying newproducts.
CLT suggest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mental representation of event(eg; new products purchase) in the present versus the future and describes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extent to which people's thinking about objects and events(abstract vs. concrete/ feasibility vs desirability).When the consumer intends to buy something, (S)he thinks about the produc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oint of purchase. As (s)he considers buying in distant future, (s)he thinks abstractly(not concretely) and pays attention to desirable things(not feasible things).
So, this research hypothesized the consumer considering to buy newproduct in near future perceive riskmore, like less and intend to purchase less than in distant future(H1). In addition to this hypothesi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there is interaction effect of new product type between the temporal distance and consumer attitudes(perceived risk,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H2).
In the first experiment that manipulated the temporal distance(one week and six months), this study supported H 1, which was consistent with existing findings. Based on this, we extended the experiment regarding to INP and RNP respectively and supportedH 2. For more specific, results from two experiments and extended analysi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the attitudes of new product(perceived risk,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depends on the type of new products, which means the effect of temporal distance on the perceived risk(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is greater or larger for RNP than INP.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실증분석 및 가설의 검증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브랜드와 확장 제품의 유사성이 광고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호텔기업의 서비스 회복 공정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판매원의 고객 접촉과 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의무감의 매개역할
- 기업 간 관계에서 신뢰의 차원별 효과에 관한 연구: 관계기간의 역할
- 국산 농산물의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관광가이드의 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항상 설득메시지는 강할수록 좋은가?
- 신제품 구매 시 시간 거리 인식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메가트렌드 분석을 통해 예측한 외식상품의 미래
- 사용자 행동 변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PB제품 구매행동 비교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nd Subjective Well-Being
- 브랜드 편익지각, 브랜드 만족,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의 경로 연구
- 온라인 브랜드 개성의 진화모형: 종단연구
- 로열티 프로그램에서 고객등급 하락시 고객의 소비가치와 사과메시지 유형에 따른 충성도 변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