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랜드 편익지각, 브랜드 만족,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의 경로 연구
이용수 912
- 영문명
- Brand Benefit Perception, Brand Satisfacti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재진(Lee, Jaejin) 간형식(Kahn, Hyungsik)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0권 제3호, 21~3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많은 브랜드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그중 상당수는 적절한 브랜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소비자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게 된다. 브랜드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해 소비자에게 인지되면 태도ㆍ행위적 충성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브랜드자산 가치를 제고하는 여러 변수들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는데 그 중에서도 브랜드 신뢰(brand trust)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으며 특히 인지적 신뢰요인(reliability)과 정서적 신뢰요인(intention)으로 구분하여 영향관계를 살피는 시도는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충성도에 이르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으로 브랜드 신뢰를 고려하여 경로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로를 토대로 소비자유형을 상황 의존적 소비자와 상황 독립적 소비자로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에 대한 상징적 및 실용적 편익과 브랜드만족의 관계, 브랜드만족과 브랜드신뢰의 두 가지 차원인 믿음과 의도간의 관계, 신뢰의 두 가지 차원과 브랜드충성도간의 관계에 대한 경로구조를 확인하고 브랜드신뢰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대한 최적화된 경로를 검증하였다. 소비자 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상황 독립적인 소비자는 실용적 편익지각, 상황 의존적인 소비자는 상징적 편익지각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지각하고 브랜드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브랜드신뢰와 브랜드 충성도간의 영향관계에서 믿음신뢰차원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황 독립적인 소비자, 의도의 영향은 상황 의존적 소비자가 더 컸다.
영문 초록
Many brands are launched in the market and some brands are vanished without proper brand management. Building a brand loyalty through communication strategies toward brands is very important. Many marketing researchers have tried to do it but among them, the studies of brand trust are not popular, especially the two dimensions of brand trust: reliability and in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the brand trust, the essential concept of brand equity.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d consumers into two types: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 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vestigated the moderator effects betwee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As a result, the passage structures between benefit perception and brand satisfactio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and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are confirmed. Concerning moderator effects, in the relation of benefit perception and brand satisfaction, situation-dependent consumers aremore sensitive to utilitarian benefit, as for situation-inter dependent consumers, to hedonic benefit. In the relation of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as far as situation dependent consumers are concerned, reliability has more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On the other hand, interdependent consumers represent that intention has more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III. 연구 조사 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브랜드와 확장 제품의 유사성이 광고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호텔기업의 서비스 회복 공정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판매원의 고객 접촉과 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의무감의 매개역할
- 기업 간 관계에서 신뢰의 차원별 효과에 관한 연구: 관계기간의 역할
- 국산 농산물의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관광가이드의 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항상 설득메시지는 강할수록 좋은가?
- 신제품 구매 시 시간 거리 인식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메가트렌드 분석을 통해 예측한 외식상품의 미래
- 사용자 행동 변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PB제품 구매행동 비교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nd Subjective Well-Being
- 브랜드 편익지각, 브랜드 만족,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의 경로 연구
- 온라인 브랜드 개성의 진화모형: 종단연구
- 로열티 프로그램에서 고객등급 하락시 고객의 소비가치와 사과메시지 유형에 따른 충성도 변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제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