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대학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연구
이용수 809
- 영문명
- A Cas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by University in Japan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박환보(Hwanbo Park)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2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최근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대학의 역할 증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우리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글이다. 이를 위해서 일본의 ODA 정책 변화의 맥락을 간략하게 고찰하고, 이에 따른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 형태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대학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국제개발협력 사업의 참여가 개인적 차원에서 기관적 차원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대학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문부과학성이 대학의 본래 기능인 교육, 연구 기능을 국제협력이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각 기능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사업 참여가 정부의 ODA 정책과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 한다. 특히 문부과학성이 개발협력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 본연의 인력양성과 연구 기능을 지원하여, 국내외의 개발협력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는 점은 최근 한국의 원조분절화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by university in Japan and tried to draw implication on Korean universities. Doing this, this study reviewed Japanese ODA policy and analyzed a type of ODA activities by university. The findings from the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way of participation in development cooperation has expanded to organizational level as well as individual level. Second, the ministry of education(MEXT), which can control universities directly, has supported universities to participate in various ODA activities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Based on this findings, this study concluded that government’s role is important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by university. Specially, it could imply on Korea that MEXT did not conduct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independently but supported universities to make a full use of their capacity in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대학의 국제개발협력 참여 요인
Ⅲ. 일본의 대학을 통한 국제개발협력 참여 동향
Ⅳ. 일본의 대학을 통한 국제개발협력 참여의 특징
Ⅴ. 결론과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