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외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64

영문명
The Influence of Foreigner Student’s Cultural Adjustment Stres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주동범(Ju, Dong-Beom) 김향화(Kim, Hyang-Hwa)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123~14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주목적은 외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4년제 5개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성별, 여령, 결혼여부, 한국거주기간, 한국어수준), 문화적응 스트레스(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미워함, 두려움, 문화적 충격), 대학생활 적응(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을 조사하였다. 최종 118명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평균차이검증(t검증, 일원분산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외국인유학생의 한국거주기간 및 한국어수준별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한국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한국어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고, 대학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많음을 의미한다. 한편, 외국인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후 대학생활 적응 중 학업적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친 변수는 ‘한국어수준’,‘지각된 차별감’, ‘두려움’,‘문화적 충격’이었고, 사회적 적응에는 문화적 충격, 개인·정서적 적응에는‘향수병’과‘문화적 충격’, 전체에는 ‘지각된 차별감’,‘향수병’,‘두려움’,‘문화적 충격’이었다. 이것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영역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제한점 등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oreigner student’s cultural adjustment stres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For th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gender, age, marriage status, period in residence, and level of Korean language), cultural adjustment stress (perceived differentiation, homesick, perceived hate, fear, cultural shock),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academic, social, and personal·emotional) of the foreigner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5 4-year universities in Busan were surveyed. Using data from 118 foreigner students,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cultural adjustment stres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by foreigner student’s period in residence and level of Korean language. In the other hands, after controlling foreigner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level of Korean language, perceived differentiation, fear, and cultural shock influenced negatively academic adjustment, cultural shock influenced negatively social adjustment, homesick and cultural shock influenced negatively personal·emotional, and perceived differentiation, homesick, fear, and cultural shock influenced negatively total adjustment. So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f the results were provi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동범(Ju, Dong-Beom),김향화(Kim, Hyang-Hwa). (2013).국내 외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교육연구, 23 (1), 123-145

MLA

주동범(Ju, Dong-Beom),김향화(Kim, Hyang-Hwa). "국내 외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교육연구, 23.1(2013): 123-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