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thinking Historiography in writing Mission History: In the Case of the Jesuit Missionary to China, Matteo Ricci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저자명
- 김상근(Sangkeun Kim)
- 간행물 정보
- 『선교신학』제31집, 35~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f you want to write a mission history, academic dilemmas hinder you to sustain objective perspectives due to your confessional orientation. We mission historians believe that God has a grand plan of salvation for humankind and we are witnessing His story in the history of mission. Secular historians, however, do not believe in this kind of confession orientation. Rather they despise this kind of approach as the lack of academic objectivity. We mission historian must find the third way for writing mission history which could be shared not only with our fellow Christian scholar but also secular historians who believe in the objectivity as the primal condition for writing history.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 of Jacob Burckhardt(1818−1897) who proposed a flexible approaches in historiography. He criticizes that history is neither logic nor philosophy which is logical framework is firm and decisive. History writing should, according to Burckhardt, flexible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should be open.
The present author shows that this kind of flexible historiography could be accommodated in a new way of mission historiography. To show an example the author interprets the early Jesuit Missionary Matteo Ricci from the flexible mission historiography: Push factor and Pull factor.
The author claims that writing mission history in more flexible historiography could be achieved by comparing push factor of missionary sending and pull factor of missionary receiving. Early Jesuit mission history will be more flexible if we approach the Jesuit mission from politics(of missionary sending from 16th−century Europe and missionary receiving from the late Ming China's political situation), culture, and religion.
목차
서론: 선교 역사 기술방식에 대한 반성
1. 마테오 리치를 아시아로 보낸 유럽의 추동력
2. 마테오 리치를 받아들인 16세기 중국의 유인력
3. 선교역사의 새로운 기술방식: 추동력과 유인력의 교차점
Abstrac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한계시록의 일곱 교회에 보내는 말씀과 타문화권 선교
- 존 녹스 신학사상의 선교신학적 이해
- 강도 만난 조선인의 친구 선한 사마리아인 스크랜튼의 “칭친구 (稱親舊) 선교”
- 교회의 사도성 회복과 선교적 적용
- 하나님의 여행”의 동행자들
- 선교 역사(Mission History) 기술방식(Historiography)에 대한 제고
- 한국 불교의 특성과 관련된 선교적 함의
- 남북화해를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 지역사회를 섬기는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 신종교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 선교사 멤버케어에 관한 소고
- 중앙아시아 지역연구와 선교 전략
- 르완다 공화국(Republic of Rwanda) 사회 · 문화 이해와 복음 선교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