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활용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94
- 영문명
- The Effects of Discussion Activity Utiliz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Self-concept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경선(Park Kyung-sun) 이경화(Lee Kyung-hwa)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2권 2호, 23~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활용 토의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 총 50명을 대상으로 그림책활용 토의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언어능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 활용 토의활동 언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그림책 활용 토의활동은 유의 자아개념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그림책활용 토의활동은 언어능력과 긍정적인 자아개념 향상에 매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discussion activity Utiliz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self-concept. Accordingly,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ings:
1) What is the effect of discussion activity Utilizing picture books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vocabulary ability, language comprehensibility, language expression, language creativity)?
2) What is the effect of discuss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on the improvement of your children’s self-concept (language, mathematics, physical body, friendship, relationship with parents, general self)?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discuss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were more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their language abilit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t was identified with activities improving language understanding, language expression and language creativ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scuss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nfirmed that discussion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was a program helping improve language ability and positive self-concep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