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 of Femoral Anteversion on Composite Hip and Thigh Muscle EMG Amplitude Ratio During Stair Ascent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Ki-seok Nam Ji-won Park Yun-won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111~1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hip and thigh muscle activities between subjects with increased and decreased femoral anteversion during stair ascent. Twelve healthy female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with increased anteversion of the hip, group 2 with decreased anteversion of the hip).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each mean peak gluteus maximus (GM), gluteus medius (GD) and tensor fascia lata (TLF) EMG amplitude: composite mean peak hip muscles (GM, GD, TFL) EMG amplitude ratios and in each mean peak vastus medialis oblique (VMO), vastus lateralis (VL), biceps femoris (HM) and semitendinosus (HL) EMG amplitude: composite thigh muscles (VMO, VL, HM, HL) EMG amplitude ratios among subjects with decreased or increased relative femoral anteversion. EMG ratios were compared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of stair ascent. Group 1 showed an increased standardized mean GM and GD EMG amplitude and decreased standardized mean TFL to composite mean hip muscles EMG amplitude ratios in stair ascent during both stance and swing phase. Also, group 1 showed an increased standardized mean HL EMG amplitude and decreased standardized mean VL and HM to composite mean thigh muscles EMG amplitude ratios in stair ascent during both stance and swing pha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tus medialis oblique between subjects with increased or decreased relative femoral anteversion. In order to provide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with a clearer picture of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stair climbing task, further research must be expanded to include a wider range of age groups that represent the general public, such as including middle-aged healthy persons.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활 후 척수손상환자 보행능력의 양상과 보조 장구 사용 실태
- 물리치료에서 효율적인 환자교육과 전략
- The Effect of Femoral Anteversion on Composite Hip and Thigh Muscle EMG Amplitude Ratio During Stair Ascent
- 시각적 정보와 내측 쐐기 인솔의 높이 차이가 정상 성인의 슬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남녀 대학생들의 수직착지 시 성에 따른 무릎 외반각도의 차이
- 편마비 보행 시 족저압력중심의 이동특성과 동적균형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전방 걷기와 후방걷기 동안 넙다리네갈래근 활동성 비교
- 편측 뇌손상 환자에서 동측 상지의 근위부 및 원위부의 운동 결함에 관한 분석
- 요부 안정화 운동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 뇌손상 후 상지 운동기능 회복 평가
-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슬관절 주위근의 근력비와 Q-각과의 관계
- 맥동성 초음파가 흰쥐 창상치유에 미치는 조직학적 변화
- 자기통제 결과지식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