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Upper-Limb Motor Recovery After Brain Injury : The Clinical Assessment and Electromyographic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호(Young-ho Kim) 태기식(Ki-sik Tae) 송성재(Sung-jae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91~9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e assessed whether the use of a symmetrical upper limb motion trainer in daily repetitive training for a 6-week period reduced spasticity and improved motor function in three chronic hemiparetic patients. Upper limb motor impairment and disability were measured by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Modified Ashworth Scale (MAS) and Manual Muscle Test (MMT), respectively. The electromyography (EMG) of the affected hand was recorded during isometric wrist flexion and extension. In all patients, FMA and MMT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6-week training. However, MAS scores of the affected wrist spasticity did not change considerably. Onset and Offset delays in muscle contra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ffected wrist. The co-contraction ratio of flexor and extensor muscl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6-week training. Onset and offset delays of the muscle contraction and co-contraction ratio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patients’ FMA. This study showed that repetitive, symmetric movement training can improve upper limb motor functions and abilities in chronic hemiparetic patients. Also, the EMG assessment of motor response is likely to provide insights into mechanism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motor recovery in chronic hemiparetic pati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정보와 내측 쐐기 인솔의 높이 차이가 정상 성인의 슬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전방 걷기와 후방걷기 동안 넙다리네갈래근 활동성 비교
- 재활 후 척수손상환자 보행능력의 양상과 보조 장구 사용 실태
- 맥동성 초음파가 흰쥐 창상치유에 미치는 조직학적 변화
- 자기통제 결과지식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편측 뇌손상 환자에서 동측 상지의 근위부 및 원위부의 운동 결함에 관한 분석
- 편마비 보행 시 족저압력중심의 이동특성과 동적균형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요부 안정화 운동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 남녀 대학생들의 수직착지 시 성에 따른 무릎 외반각도의 차이
- 물리치료에서 효율적인 환자교육과 전략
- The Effect of Femoral Anteversion on Composite Hip and Thigh Muscle EMG Amplitude Ratio During Stair Ascent
- 뇌손상 후 상지 운동기능 회복 평가
-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슬관절 주위근의 근력비와 Q-각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