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on Quadriceps Muscles With Treadmill Inclination :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한상완(Sang-wan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63~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compare the effects of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on surfac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quadriceps muscles at treadmill grades of 0%, 5% and 10%, subjects were randomized to eleven athletics (5 females, 6 males), with a mean age of 17.8 years, and a SD of 4.66 years. The values of the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and vastus medialis oblique (VMO) were measured during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on a treadmill at grades of 0, 5 and 10%. The subjects walked for approximately 10 seconds at 4.0 ㎞/h.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ing of the two-way ANOVA and analyzed by a paired t-test between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The SEMG activity levels of the RF, VL and VMO were the highest when both the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increased incrementally for treadmill grades of 0% to 10%, but the VMO/VL ratio had no significant changes. The SEMG activity levels of the RF, VL and VM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rections. However, SEMG activity levels of the RF, VL, VMO and VMO/VL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dmill grad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s were detected between the direction of walking and treadmill grade. Backward walking on the treadmill at 4 ㎞/h and grades of 0%, 5%, 10% elicited a greater SEMG activity on the quadriceps muscles than did forward walk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quadriceps may be effectively activated by performance at treadmill grades of 10%. This investigation confirms that backward walking up an incline may place additional muscular demands on individual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적 정보와 내측 쐐기 인솔의 높이 차이가 정상 성인의 슬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
-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전방 걷기와 후방걷기 동안 넙다리네갈래근 활동성 비교
- 재활 후 척수손상환자 보행능력의 양상과 보조 장구 사용 실태
- 맥동성 초음파가 흰쥐 창상치유에 미치는 조직학적 변화
- 자기통제 결과지식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편측 뇌손상 환자에서 동측 상지의 근위부 및 원위부의 운동 결함에 관한 분석
- 편마비 보행 시 족저압력중심의 이동특성과 동적균형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요부 안정화 운동에 따른 몸통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 남녀 대학생들의 수직착지 시 성에 따른 무릎 외반각도의 차이
- 물리치료에서 효율적인 환자교육과 전략
- The Effect of Femoral Anteversion on Composite Hip and Thigh Muscle EMG Amplitude Ratio During Stair Ascent
- 뇌손상 후 상지 운동기능 회복 평가
-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슬관절 주위근의 근력비와 Q-각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