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마을 비보(裨補)숲의 풍수적 의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5
- 영문명
- A Study on the BiBo Forest - Case Study of Goseong-Gun Village Forest from Feng-shui Perspectives -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윤재일(Yoon, Jae-il) 성동환(Sung, Dong-hwa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3권 제2호, 213~24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상남도 고성군에 소재하는 마을숲 중 비교적 보존형태가 양호하고 문헌적 자료가 확실한 15개의 마을숲을 대상으로 풍수적 비보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지리학적인 측면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점은 마을숲이 수구막이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마을숲이 마을의 전면부를 막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고 마을 전체에 안정감을 부여하고 정서적으로 안온한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이는 고성군 마을숲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 마을숲 조성이 수구(水口)를 관쇄(關鎖)하는 풍수지리의 기본 원리를 구현하려는 노력의 소산으로 판단된다.
둘째, 골짜기 바람이나 해풍이 불어오는 경우 수구를 막아주면서 한편으로는 살풍(殺風)을 차단하는 효과를 동시에 발휘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청룡이나 백호가 빈약하거나 안산이 없거나 미미한 경우에 마을의 지기(地氣)를 보존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서 숲을 조성하여 마을의 오랜 번영을 도모하려 하였다. 하나의 숲이 한 마을에서는 백호로, 다른 마을에서는 청룡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조산(朝山)과 안산이 허결(虛缺)한 경우에는 앞쪽이 과도하게 공허하거나 광활해질 수 있으므로 안산을 인공으로 조성하여 보완하려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흉사(凶砂)나 흉수(凶水)를 가려서 비보하려는 마을숲이 있었다. 또한, 연못을 조성하여 명당수를 조성하려는 마을숲이 두 곳으로 파악되었다.
고성군의 마을숲은 현재 휴양림으로 이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서북풍의 골풍과 해풍을 막거나 수구막이 역할을 하는 마을숲이 많았다. 또한 사신사 중에서 청룡과 백호나 안산을 보호하여 비보하는 경우가 있었고, 연못을 조성한 명당수로서의 역할을 하거나 흉수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to verify the types of village forest in Goseong Gun, South Gyeongsang Province from feng-shui perspectives, and a total 15 village forests were investigated.
Village forest is built and preserved by the village residents. It reflect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village.
Feng-shui’s main goal is to make and search for the best site(MYungdang) surrounded by mountains or hills which moderate the wing and gathers the water. A perfectly auspicious site without any shortcomings is extremely rare. Consequently, feng-shui expert developed the concept of Bibo in order to compensated for or remedy minor defects of an auspicious site in terms of feng-shui.
The forest planted under the tenets of Feng-shui theory is Bibo forest which is complemented in order to fill up the void topography. Man could build dikes or create artificial mountains or plant trees and protect forest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potentially auspicious place. In most cases, when people found the shortcomings of the landforms of their habitat, they compensated for them through Feng-shui Bibo method. Man modifies the natural landscapes in order to make up deficients in the local geomantic landscape by planting trees.
Planting trees for the Feng-shui reason is an unique example of Korean’s modification of landforms for the purpose of fulfiling the geomantic harmony of an area.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청룡비보 마을숲
Ⅲ. 白虎비보 마을숲
Ⅳ. 조안산(朝案山) 비보 마을숲
Ⅴ. 수구비보 마을숲 및 기타
Ⅵ. 고성군 마을숲의 풍수적 요소별 유형분석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 소재 지역 극단 ‘전위무대(前衛舞臺)’의 공연사 연구
- 신(新) 뉴딜 사회입법 성격논쟁 분석
- 『令義解』田令 역주
- 고전소설의 영화화
- 소년보호처분의 문제와 대안
- 별뢰사가합(「別雷社歌合」)에 나타난 후지와라 데이카(藤原定家)의 최초 시가에 관한 고찰
- 전문용어 조어법 분석의 한 사례
- 키에르케고어의 ‘단독자’에서 나타나는 시민성 연구
- 자료포락분석(DEA)과 토빗분석(Tobit)을 활용한 대학의 효율성 분석
- 조선시대 지방관의 책무: ‘학교흥(學校興)’
- 전통마을 비보(裨補)숲의 풍수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요동지역과 압록강 유역의 청동기시대 형성과정
- 안원(顔元)을 통해 본 ‘복고(復古)’와 ‘창신(創新)’의 사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