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지방관의 책무: ‘학교흥(學校興)’
이용수 175
- 영문명
-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or in Chosun Dynasty: Hakgyohweing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수정(Park, Soo-Jung)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13권 제2호, 187~21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행정과 관련된 조선시대 지방관의 책무, 즉‘학교흥(學校興)’에 주목하여 그 배경과 내용, 구체적인 시례를 분석하고 교육행정적 의미와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에‘학교흥’이 지방관의 책무가 된 직접적인 배경은 지방관이 관할하는 관학(官學)으로서 향교가 전국적으로 건립, 운영되었다는 점으로 볼 수 있다.‘학교흥’은 『경국대전』에‘수령7사(守令七事)’의 하나로 확립되었고, 지방관의 평가 항목과 주요 업무로서 강조되고 실행되었다.‘학교흥’을 통해 조선시대 지방행정에서 교육행정의 비중과 위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방관에 대하여‘교육행정가’이자‘교육자’라는 역할 기대를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s, contents and cases concerning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or related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cusing Hakgyohweing(prosperity of school), and to draw meanings and implication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historical record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Hyanggyo’ in a nationwide from ‘Goanhak’ (the government school or public school) in Chosun Dynasty shows a direct background of which the ‘Hakgyohweing’ is given for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or. In ‘KyungkookDeajun(a low book in Chosun dynasty)’, ‘Hakgyohweing’ is recorded as one of ‘Suryung-7-sa’(7 job duties of local governor) of local governor which is forced as the item to be evaluated and major job duties. The record of ‘Hakgyohweing’ also shows the status and importa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local government, and assum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expect local governor to take role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 as well as educator.
목차
〈국문요약〉
Ⅰ. 서언
Ⅱ. 배경:‘학교’의 설립과 운영
Ⅲ. 내용: 학교를‘흥’하게 하라
Ⅳ. 사례
Ⅵ.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 소재 지역 극단 ‘전위무대(前衛舞臺)’의 공연사 연구
- 신(新) 뉴딜 사회입법 성격논쟁 분석
- 『令義解』田令 역주
- 고전소설의 영화화
- 소년보호처분의 문제와 대안
- 별뢰사가합(「別雷社歌合」)에 나타난 후지와라 데이카(藤原定家)의 최초 시가에 관한 고찰
- 전문용어 조어법 분석의 한 사례
- 키에르케고어의 ‘단독자’에서 나타나는 시민성 연구
- 자료포락분석(DEA)과 토빗분석(Tobit)을 활용한 대학의 효율성 분석
- 조선시대 지방관의 책무: ‘학교흥(學校興)’
- 전통마을 비보(裨補)숲의 풍수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요동지역과 압록강 유역의 청동기시대 형성과정
- 안원(顔元)을 통해 본 ‘복고(復古)’와 ‘창신(創新)’의 사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