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상호주관성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이용수 481
- 영문명
- Intersubjectivity and Peer Capability in Social Dramatic Play
- 발행기관
-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영(Lee, Ji-Young)
- 간행물 정보
-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5권 1호, 197~22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사회적 극놀이의 중요성에 대해 재고찰해 봄으로서 유아들의 사회적 극놀이에 필요한 상호주관성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사회적 극놀이에서 상호 주관성의 발달은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들에게 의미있는 사회적 극놀이의 가치를 되새겨 보고 유아들의 사회적 극놀이를 바라보는 성인들의 시각이 변화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유아가 속한 맥락 속에서 사회적 극놀이를 보다 잘 묘사하고 해석하고 유아들이 부여하는 의미를 이끌어 내어 유아들의 관점을 보다 잘 이해하려는 입장이야 말로 유아들의 사회적 극놀이 안에서 필요한 능력들을 알아가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시각을 제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subjectivity and peer capability of children by contemplating the importance of social dramatic play for children. It was found that, in social dramatic play, development of intersubjectivity is closely related to a child’s peer capability and has an impact on the childre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social dramatic play for children and to help change the perspective of adults on it. Also, it is important to try to understand children’s viewpoint by describing,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dramatic play in the children’s context, in order to learn about the abilities required for social dramatic play for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와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비교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유선택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성교육의 내용에 대한 연구
- 과학에 기초한 산책활동이 유아의 논리 수학적 지능 및 자연탐구 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현대 정보화 사회의 Dewey의 아동교육
- 만 5세 취학에 대한 유아교사, 초등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조사
-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상호주관성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변형 실천과 반성적 가르치기를 위한 고찰
-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
-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유아의 양육환경, 놀이형태 및 지능에 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