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 5세 취학에 대한 유아교사, 초등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조사
이용수 198
- 영문명
- A Study of the Recognitions of Early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f School Entrance Age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홍지명(Hong, Ji-Myeong) 천혜경(Chun, Hye-Kyoung)
- 간행물 정보
- 『변형영유아교육연구』제5권 1호, 97~1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취학에 대한 학부모, 유아교사 및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만 5세 유아의 취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의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학부모의 응답 343부를 분석하였으며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학부모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 초등교사, 학부모 모두 만 5세 취학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만 5세 교육 담당자는 유아교사이며, 만 5세 교육의 적정기관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취학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survey the recognitions of young children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f school entrance ag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8 young children teachers, 1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15 parents. For data analysis, SPSS program and χ2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5-years old was the appropriate school entrance. Second, early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 of 5-years-old needed early education teachers. Third, early education teachers, elementary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the education of 5-years-old needed kindergartens and care centers. Free education is needed for 5-years-old, to strength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implement early education effective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와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비교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유선택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성교육의 내용에 대한 연구
- 과학에 기초한 산책활동이 유아의 논리 수학적 지능 및 자연탐구 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현대 정보화 사회의 Dewey의 아동교육
- 만 5세 취학에 대한 유아교사, 초등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조사
-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상호주관성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변형 실천과 반성적 가르치기를 위한 고찰
-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인식 조사
-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유아의 양육환경, 놀이형태 및 지능에 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