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교에게 죽음이 오다』: 황야와 낙원의 경계 넘기
이용수 67
- 영문명
- Crossing the Wilderness and the Paradise in Death Comes for the Archbishop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공명수(Mung-su Kong)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6집 2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emphasizing a mode of diverse interpretations that do not privilege Christian culture over any pagan’ culture. In order to see the full range of pagan’s ahistorical land, Cather wants to learn to read the layers of New World’s landscape such as the pagan and the Christian, experiencing an ahistorical nature, a land before landscaping. Ironically though the Bishop Latour’s journey into a cave seems to be an exile and a loss, it enables him to dwell in the realm of origins. The cave under the Christian landscape becomes a site wherein the New World of America reveals its significantly ancient roots, creating the shapes of redemption out of the vast inimical Christian world. The cave is the place where the pagan and the Christian are melded, as Latour’s vertigo is caused by hearing the underground river. Accordingly his experience in cave attests not to wilderness and exile but to paradise and redemption.
As Latour nears death, more and more life seems to him mystic’s cosmic consciousness rather than an experience of the ego. His bliss derives not from a sense of the absolute indestructibility of the self but from a sense of identification with the universe. The Bishop seems to aggrandize the precisely cosmic consciousness opposed to the state of the ego on the Christian religion.
목차
Ⅰ
Ⅱ
Ⅲ
Ⅳ
인용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orean/Korean-American Children’s Literature: Themes and Representations
- 아동문학과 퀴어
- 교육 연극 기법 기반 영미 드라마 수업 모형
- 융합시대의 영문학의 역활 : 독서치료를 통한 영어 학습부진아 교육과 치유
- 우리의 검찰관들
- 『소공녀』에 나타난 세라의 성장
- 자크 데리다의 따뜻한 사유와 이론
- 불을 주제로 한 현대영미시 읽기
- 문학과 경영학: 마크 트웨인의『아더 왕궁의 커넷티컷 양키』에 나타난 동기 전쟁
- 『주교에게 죽음이 오다』: 황야와 낙원의 경계 넘기
- 입양의 몸 이야기를 통한 청소년 민주시민 교육: 제인 정 트렌카의『피의 언어』
- 청소년 문학작품을 이용한 다독 영어수업 사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