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 question des Tsiganes et de la migration en France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김희경(KIM, Hee-Kyung)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61권, 181~2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15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e travail consiste à examiner la question des Tsiganes et de la migration en France. Dans un premier temps, nous examinerons la dénomination des Tsiganes ainsi que la distance de la manière de vie, les préjugés et l’image négative que l’on conçoit envers les Tsiganes. Ensuite, nous insisterons sur le fait que les politiques tsiganes françaises présentent une perspective notamment répressive et discriminatoire, car la migration tsigane a fait l’objet d’un traitement administratif hostile. Nous constaterons que comparée aux législations des autres pays européens sur les Tsiganes, la réglementation française de 1912 est la seule à avoir imposé aux nomades le système disciplinaire du carnet anthropométrique. La politique en matière d’identification envers des Tsiganes a instauré diverses pratiques de surveillance et de contrôle très sévères par des permis de circulation. Le processus de l’examen des réglementations françaises de 1912 et de 1969 a été un élément crucial pour la compréhension des statuts discrirninatoires et discipliaires des nomades français. L’attitude des pouvoirs publics à l’égard des nomades français s’est déployée en effet autour des dispositifs législatifs et policiers. Nous concluons en estimant que la forte législation française, qui induit des attitudes et des comportements négatifs à l’égard des Tsiganes, crée des obstacles qui empêchent d’accéder aux droits, liés à l’habitat et au logement des populations tsiganes ainsi que les droits du citoyen et les droits sociaux.
목차
1. 서론
Ⅱ. 프랑스의 집시
Ⅲ. 이동의 문제
Ⅳ. 맺는말
참고문헌
〈Résum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랑스어 학습에서 코퍼스의 역할
- 건축가 정기용의 사상 형성과 프랑스 68혁명 지식인들
- 골 어(La langue gauloise)와 골(Gaule) 주변 언어 간 혼효 현상 연구
- 프랑스의 집시와 이동의 문제
- Illuminations의 순환 구조
- 로베르 브레송(Robert Bresson) 영화에서 연기자의 개념
- 사이코드라마의 연극적 기법과 효과
- Maurice Blanchot, lecteur de Kafka
- ‘완전한’ 우정과 ‘낭만적’ 사랑
-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체계적 다의 현상 비교
- 프랑스 폐산업시설 활용 예술공간Friche의 역사적 전개와 의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BEST
- ‘진정한’ 문학이란 무엇인가 - 조르주 바타유의 「르네 샤르에게 보내는 서한 : 작가의 모순들에 관하여」 읽기
- 인공지능 시대의 예술과 창의성
- 전통주의와 근대성 사이: 폴 다블뤼의 『매혹된 여름』 읽기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분야 NEW
- 실무 중심 프랑스어 교육의 디지털 전환 - 호텔제과제빵 분야를 위한 디지털 교재와 Zoom의 활용
- Idéal et pratique du genre du “mélodrame” durant le dernier tiers du XVIIIe siècle
- 아니 에르노와 마크 마리의 『사진의 용도』에 기입된 암 투병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