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조직의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6,09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rganization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a Focus on the Comparison of Approach to Levels of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한봉주(Han, Bong Ju)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집 3권, 169~19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적용해서 조직의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개인의 태도나 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일반화된 접근방법은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조직 내에서 개인의 태도나 행태는 개인수준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보다 상위 차원의 조직수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분석의 수준이 다른 경우 조직수준을 기존의 모델은 담지 못한다는 점이다. 결국, 조직문화도 분석의 수준 이슈에 있어 자유로울 수 없다. 본 연구는 HLM 분석을 통해 기존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HLM의 분석결과는, 조직의 합의문화만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직수준의 회귀분석을 이용한 결과와도 동일하다. 하지만 개인수준의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에서는 HLM의 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결국, 어떠한 분석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변수간의 인과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이렇듯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속성과 이론 모형에 적합한 접근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분석의 수준을 달리하는 다수준 자료인 경우 기존의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보다 HLM이 더 타당한 방법임을 보여준 본 연구는 조직 및 인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rganization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Meantime, the general approach to the regression equ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However,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the upper levels of the organization. This case is not supported that the existing model includes a organizational level. Eventually,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s on the level of analysis issues. This study suggests that HLM enables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from the existing model.
In result of HLM Analysis, it appears that only the consensual culture of the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ressio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level shows the same result. However, regression analysis of individual lev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ring about different result from one by HLM. Finally, a causal relationship depends on method of analysis used.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appropriate approach to the theoretical model and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 order to valid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HLM is a better choice than regression equ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ase of the existing multi-level data.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의 검토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실증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