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봉제와 동기부여: 개인 특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2,162

영문명
Merit pay and motivation: Moderation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박우성(Park, Woosung) 조한제(Cho, Hanje)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집 3권, 43~6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봉제가 종업원의 동기부여를 높이는데 조절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조절변인들을 도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봉제의도입 자체의 영향도 중요하지만 연봉제가 효과적으로 기능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수들의 조절효과가 중요하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연봉제가 이러한 조절변수들과의 적합성이 있는 경우 강한 동기부여가 발생할 것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성과임금에 대한 태도, 정보공정성에 대한 인식, 업무능력 및 업무수행에 있어서의 자율적 권한이 개인특성 조절 변수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수들의 조절적 영향이 실증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과임금에 대한 태도와 직무 자율성은 조절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정보공정성과 업무능력은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연봉제를 도입하려고 하거나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이 연봉제의 동기부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봉제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구성원들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하며 종업원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과 투자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a purpose of examining moderating variables influencing motivation effect of merit pay. After economic crisis of 1997, merit pay has been rapidly diffused in large number of Korean firms, and main research issue to the present was if it really increase motivation of employees as expected. However, for the managerial implications, it would be more important to find factors intervening in the motivation effect of the merit pay. In particular, our research is focus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could play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critical literature review, we hypothesize that motivation effect of the merit pay will be stronger if merit pay fits with thes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it is expected that attitudes for the performance pay, perception of informational justice, self-evaluated job competence, and job autonomy will positively increase the motivation level of merit pay. According to the results, informational justice and job competence exert a moderating effect while attitudes for the performance pay and job autonomy do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Results show that the firms have to actively provide pay related informations to the employees, and invest in development of the employees to maximize the level of motivation through merit pay.

목차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내 실증연구의 현황 및 검토
Ⅳ. 실증모형과 가설
Ⅴ. 자료와 변수의 측정
Ⅵ. 분석 결과
Ⅶ. 요약 및 토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우성(Park, Woosung),조한제(Cho, Hanje). (2012).연봉제와 동기부여: 개인 특성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 (3), 43-69

MLA

박우성(Park, Woosung),조한제(Cho, Hanje). "연봉제와 동기부여: 개인 특성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3(2012): 4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