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지역 학교회계직원의 고용형태별 특성 및 직무만족도 요인 비교 연구
이용수 705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mployment Status Characteristic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of the Official School Worker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손동희(Son, Dong Hee)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집 3권, 71~1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의 차이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등 근로자 개인의 태도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2년이상 근속 비정규직이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이른바 ‘무기계약직’에 대한 실증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본 연구는 학교회계직원을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과 비정규직(기간제)의 고용형태 차이가 직무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들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회계직원의 고용형태 차이는 ‘학교고용환경인식’과 ‘직무특성인식’ 그리고 ‘직무만족도’ 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형태에 관한 기존의 실증과는 다른 결과이다. 오히려 ‘무기계약전환효과’는 무기계약근로자인 정규직일수록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학교고용환경인식’과 ‘직무특성인식’이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에서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정규직(기간제)의 경우 ‘직무특성인식’이 ‘학교고용환경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규직(무기계약직)의 경우에는 ‘학교고용환경인식’과 ‘무기계약전환효과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직무특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회계직의 고용형태가 계약기간의 외형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행 직무나 고용환경에 대한 인식, 직무만족도 등의 태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은 실무적이고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교조직과 금융업종 등에서 ‘무기계약제’ 형태로 운용되고 있는 이른바 ‘중규직’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regular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have some effect on the attitude variables of individual workers, lik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not. However, studies on the no fixed-term workers are insufficiency.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of employment status between no-fixed term workers and the temporary workers have some e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key variables or no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difference of employment status have no effect on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s, and the job satisfaction. It appeared that effects of converted from fixed-term to no fixed-term workers negatively affect no fixed-term workers.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s influence to the factors of employment status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 have positive effect to no fixed-term workers and the temporary workers both. Also, in case of temporary workers, perception of job characteristic performs partial mediating role to the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and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 In case of no fixed-term workers, job characteristics have partial mediating role about the positive effect that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effects of converted from fixed-term to no fixed-term workers have and effect on job satisfaction. Some policy implications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the employment status of official school workers have no effect on the job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Additional studies would be needed about the in-between job that is operated as occupational sub-categorization system in the school and financial industry.
목차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자료 및 변수측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