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혼 남녀의 배우자 선택 조건 및 관련 요인 분석
이용수 552
- 영문명
- Unmarried Men and Women’s Mate Selection Conditions and Related Variable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경신(Kyeong-Shin Kim) 김오남(Oh-Nam Kim) 이선미(Seon-Mi Lee)
- 간행물 정보
- 『生活科學硏究』家政科學硏究 第5輯, 103~1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of unmarried men and women’s mate selection conditions, to estim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on mate selection.
The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unmarried 164 men and 235 women living in Kwang-ju.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ll scores of mate selection conditions were higher than medium. Especially in desirable spouse conditions, women’s were higher than men’s. More valued spouse conditions were women’s appearance, health, family background in men and all conditions in women. Women desired more similar and interactional conditions than men.
2. External and internal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ge, work in men and age, father’s and mother’s age in women. Homogeneous and interactional cond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ex role attitude,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in men and age, education, work, father’s age, love, necessity of marriage, sex role attitude,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in women.
3. External and internal conditions were influenced by work in men and mother’s and father’s age in women. Homogeneous conditions were influenced by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necessity of marriage in men and age,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necessity of marriage in women. Interactional conditions were influenced by sex role attitude, father’s age in men and sex role attitude, education, work in wom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