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결혼이민자 부부의 결혼 만족도와 이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용수 856
- 영문명
- Family Resources, Marital Satisfaction, and Divorce Proneness in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in Korea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저자명
- 설동훈(SEOL Dong-Hoon) 이계승(LEE Gye-Seung)
- 간행물 정보
-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3권 제1호, 117~14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결혼이민자 부부의 결혼 만족도와 이혼 의향을 종속변수로 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다. 가족자원이론에 근거하여 설명변수들을 탐색하여,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결합 형태’, ‘이민자의 한국거주기간’, 한국어능력과 취업 여부 등 ‘이민자의 인적자본’, ‘한국인 남편의 인적자본’, ‘가족 내 사회적 관계’,‘사회·경제적 배경’, ‘출신국 유형’ 등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결합 형태’와 ‘사회·경제적 배경’이 결혼 만족도와 이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민자가 한국사회 적응을 잘 할수록 안정된 결혼생활을 유지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개별 독립변수들의 통계적 유의도는 아내와 남편에 따라 제 각각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determinants of the divorce proneness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in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especial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Korean husbands. Social demographic combination of the couple (age and education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the duration of immigration, immigrant’s human capital (Korean proficiency and employment status), Korean husband’s human capital (education),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 family, socioeconomic backgrounds (social class and residential place), and immigrant’s country of origin are selected as explaining variables.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s are show that social demographic combination of the couple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are the two key variables affecting divorce proneness. However, other variables including the duration of immigration and immigrant’s human capital reflecting immigrant’s incorporation into Korean society do not have direct effects, but have indirect effects by way of marital satisfaction on divorce pronenes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자료 및 변수의 측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