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reativity Education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숙희(Park, Sook-Hee)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2권 1호, 15~2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의 현황을 이해함으로써,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및 강원도에 위치한 국공립 보육시설 및 공, 사립 유치원, 직장 보육시설, 그리고 민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아 교사들의 응답 결과를 통해 창의성교육을 위해 교수-학습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좀 더 다양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창의적 교수-학습 행동의 실제에 관한 실습 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공되는 것이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reativity educa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reativity education made by Kang, Gil, and Lee (2001)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education. This questionnaire is the style of 5 point Likert scale or the choice type of yes/n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resources need to have a more diversifie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Second, actual hands-on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iversifie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시작하며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