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년층의 명사 정의하기 특성
이용수 1,066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Verbal Definitions in Normal Elderly Korean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수정(Soo-jung Kim) 최현주(Hyunjoo Cho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7권 제1호, 107~11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노년층에게서 나타나는 언어표현 능력의 저하는 인지 기능의 저하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노년층과 청년층의 정의하기 능력의 비교를 통해 노화로 인한 정의하기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노년층에 나타나는 다양한 정의하기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 41명과 청년층 50명을 대상으로 정의하기 과제를 실시하고 정의 점수 및 정의 유형의 출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노년층의 정의 능력에 대한 성별과 교육정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과제에 사용된 단어는 모두 보통명사로 4개의 범주에서 각 범주별로 고빈도어 3개, 저빈도어 3개를 선정하여 총 24개의 단어를 목표단어로 하였다. 또한 산출한 정의 반응을 점수화하고, 정의 반응을 4개의 정의 유형(기능적 정의,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첫째, 정의 점수에서 노년층의 수행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청년층의 경우 기능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를 유사한 비율로 사용하고 관계적 정의의 출현율이 낮은 반면, 노년층의 경우 기능적 정의와 관계적 정의의 출현율이 높고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의 출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년층의 경우 정의 점수에서 성별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노인층의 경우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정의 점수가 높았으며, 정의 유형의 출현율의 측면에서는 교육년수가 높을수록 분류적 정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노년이 되면 언어의 의미 처리 능력이 감퇴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상 노년층의 정의하기 능력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고 치매나 실어증과 같은 노년층에 나타날 수 있는 언어장애의 평가와 중재에 있어 준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Language impairment is an aspect of cognitive impairment that may be related to ag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definition in normal elderly Koreans and compared their performance with those of younger people. In addition, the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on performance of verbal definition. Methods: Forty-one normal elderly and 50 younger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verbal definitions task included 24 concrete nouns, six words for each of four categories (food, furniture, animal, electrical and appliance). The types of definition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unctional, relational, physical and categorical. Results: First, the definition score of the normal elderl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younger people group. Second, the appearance ratio of type of definition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functional, relational, physical, and categorical in normal elderly and in the order of functional, physical, categorical, and relational in younger peopl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finition score according to gender. Fourth,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educational level, definition score, and the ratio of categorical definition were found.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normal elderly Koreans have impairment in verbal definition that i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caused by ag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언어학습부진아동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및 주제운용 특성
- Effects of Deep Brain Stimulation (DBS) on Speech and Voice in Parkinson’s Disease
- 이중언어 사용자의 음운처리에 나타나는 두 언어의 병행 활성화
- 12~24개월 구개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음운발달
- 인공와우 이식 아동에 있어서 작업기억용량과 수술 후 언어능력과의 관계
- 노년층의 명사 정의하기 특성
- 토큰검사와 단기 및 작업 기억 검사 결과 간의 관련성
- 3~4세 이중언어경험 아동의 단어의미추론
- 마비말장애인의 조음오류 유형에 따른 말명료도 분석
- 문장따라말하기 검사의 학령 전 단순언어장애 진단 정확도
- 태블릿 PC를 이용한 AAC 중재가 무발화 중도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양상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치료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