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문계 고등학생의 선행학습 효과 분석 연구
이용수 2,130
- 영문명
-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The Pre-Study Effec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천(Kim, Seongcheon) 신철균(Shin, Cholkyun)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9집 제4호, 87~10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병행하는 혼합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우선, 서울과 경기 9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43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서 선행학습 관련 항목과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수학 백분위 점수(종속변인)를 결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선행학습을 하는 이유와 교사들이 생각하는 선행학습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사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모델에서는 선행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나, 가정적 배경과 수학에 관한 학습 태도변인, 전년도 학업성취 수준 등을 함께 투입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교사 면담 결과 선행학습이 단순 문제 풀이식으로 개념 이해의 한계, 학교 수업 소홀, ‘구경 학습’을 하는 한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ow pre-study influences the academic achievement within the subject of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combing the pre-study category through a survey targeted at 430 high-school stu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ith their mathematics percentile scores (dependant variable) of Union National Education Assessment in June. The research highlighted the following results: The pre-study functioned as a meaningful variable in the initial model.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re-study, however, was weakened when the variables of the family background, learning attitude concerning mathematics and the previous year’s level of achievement were put together. After the teacher’s interview, it was revealed that pre-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problems grasping the concepts caused by simple problem solving, carelessness of the class, and ‘watching learning’.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아성찰시 교육 방법 연구
- 자문화기술지의 이론적 관점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 인문계 고등학생의 선행학습 효과 분석 연구
- 원격대학원 성인학습자의 위키 기반 협력학습 참여 행태 및 효과에 대한 인식 분석
-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 포트폴리오 활용의 효과
- 동료지원학습전략(PALS: Peer Assisted Learning Strategies)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과 독서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수업모형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대학생들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학습주도의 양상 탐색
- 어린이를 위한 죽음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
-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 교사 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