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pect of Pathological Symbol ‘Cheonbyun’ in Cheonbyunpoonggyong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 저자명
- 김정란(Kim Jung Ran)
- 간행물 정보
- 『수행인문학』수행인문학 제41집 제1호, 85~1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pathological symbol ‘cheonbyun’ in Park Tee-won’s Novel Cheonbyunpoonggyong. Park Tee-won was member of ‘ku-in-hoi’, so as a Modernist, his Novels was studied formally modern and modernism as an expression. But through the study of this approach, limitations of the study revealed. As a Modern intellectual and artist, Park Tae-won tried co search Chosun daily life to explore the meaning of life. Bur since the late 1930’s sophistication of his fictional began to lose. At this point, the beginning of this study and paid. In the eyes of colonial intellectual, 1930’s in Chosun is regarded as a prospect does nor reality. Bur the subject of negative and positive destruction can only end in the conclusion that the betrayal. So Park Tae-won was seared inside in pathological symbol ‘cheonbyun’. In ‘cheonbyun’ the image of happiness guaranteed, embodied the oriental moral image and gathered by the artist bourgeois’s picture was reveals the paranoid see. Antinomy of mordern reason and oriental moral sense in Cheonbyunpoonggyong may be reviewed in pathologial sense of Park Tao-won.
목차
Ⅰ. 서론
Ⅱ. 정념으로 가득한 천변의 풍경과 근대적 나르시시즘
Ⅲ. 결론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역사와 융합 제28호 목차
- 현행 간도 교육의 문제와 정상화를 향한 시론적 연구 - 예맥한인(濊貊韓人)의 생활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한국사 교과서’의 서사 문제
- 관상학에서 심상의 귀납적 접근 시론(試論) - 바람직한 심상 관리를 위한 성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