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문학 전공 대학생의 논리력과 창의력을 위한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228

영문명
A Case Study of Korean Writing Class-works for Logical and Creative Competence of Study of College of Humanities - For Improvement of Class-works Practices of “Critical Writing for the Performative Humanities”
발행기관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저자명
김성제(Kim seong-je) 김순자(Kim sun-ja) 송원찬(Song won-chan)
간행물 정보
『수행인문학』수행인문학 제41집 제1호, 53~8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igher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needs more class-works for the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than before. Korean universities are preparing for the investment to designing the writing classes, specially focusing on academic essays. We can see some theoretical researches on the basic ideas for academic and critical essay writing. It is, however, hardly useful to apply the theories to practical class-works in Korean universities. Subjects for “Korean Writing” in the curricula of general education cannot develop essay writing classes for the specific academic field. Besides, colleges running the academic curricula of their own studies cannot afford to invest to the writing classes even though they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essay writing classes. This paper focuses on the basics of academic critical writing subject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It deals with planning, designing, running and practicing the class-works of “Critical Writing for the Performative Humanities” that is the first-year college requirement subject of College of Humanities at Hanyang University, Korea. This subject was planned and has been designed for pragmatic way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of freshmen of College of Humanities. We have run the classes for one and half semester, and try to signify our practices, efforts and results of which are contents of this paper. We expect that our practices will be a model helpful to signify and develop critical academic essay writing class-works.

목차

Ⅰ. 서론
Ⅱ. 논리적 글쓰기 수업의 필요성과 교육 모형
Ⅲ. 2010년 수업 현황과 문제점
Ⅳ. 2011년 수업 현황과 개선점
Ⅴ. 결론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제(Kim seong-je),김순자(Kim sun-ja),송원찬(Song won-chan). (2011).인문학 전공 대학생의 논리력과 창의력을 위한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수행인문학, 41 (1), 53-83

MLA

김성제(Kim seong-je),김순자(Kim sun-ja),송원찬(Song won-chan). "인문학 전공 대학생의 논리력과 창의력을 위한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수행인문학, 41.1(2011): 53-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