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ternational Aspects of Silla's Medicine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이현숙(Lee, Hyun-Sook)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83號, 269~2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development of the Silla's medicine and its international aspects, focused on international trade of the medicine among Silla, Tang China and Japan.
I tak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for the characteristics to distinguish the ancient period from the medieval era in the medical history of Korea. The international aspects of Silla's medicine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after unifying the Korean Peninsular, Silla positioned itself as an important consumer and exporter in the trade of medical materials in East Asia.
Silla came into a full-blown contact with Tang's medicine through the unification war of the mid-7th century. Silla not only embraced Tang's medicine, but also exported homegrown medicinal materials along with acupuncture needles and techniques. After accomplishing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Silla even put together medical traditions possessed by Goguryeo and Baekje, and at the same time, adopted the medical system of Tang as the standard, thereby achieving the prototyp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韓醫學).
The establishment of ‘Ihak(醫學:national medical school)’ in 692 demonstrated that Silla's rulers set the goal for its medicine by adopting Tang-style medical system. Through such moves, Silla's medicine was able to gain universality and compatibility that were acceptable in the medical community of East Asia.
Dodaiji(東大寺) Shosoin(正倉院) of Japan well exhibits an aspect of Silla's medical industry as a result of its universality. There were so many drugs from Silla, including several preparations. After unifying the Korean Peninsular, Silla secured not only home-grown materials such as ginseng(人蔘) and ox bezoar (牛黃), but also various high-end materials through importation to export compounded medicines so that it created a high value of added industry.
From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at while Tang's medicine constantly embraced diverse knowledge available within East Asia and supplemented so that it could become the standard framework of this region, Silla's medicine existed within the broad boundary of East Asian medicine as a branch of medicine equipped with universality, compatibility and international characters.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의학의 고유성과 보편성
Ⅲ. 의약교역으로 본 신라의학의 국제성
Ⅳ.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일한인의 국적
- 한성부 청풍계 · 옥류동의 역사지리적 특징
- 단양 구낭굴 4차발굴과 연구성과
- 인조대 택당 이식의 관직생활과 현실인식
- 試論高句麗與慕容鮮卑對遼東地區的爭奪
- 단군릉수축운동과 기성회장 金商俊 일가
- 중국의 大國崛起와 남중국해 諸島 영유권문제
- 唐代 石燈에 관한 考察
- 신라 의학의 국제성과 의약교류
- 고구려 광개토왕의 燕郡[北京]침공원인에 대하여
- 開泰寺의 創建과 그 動向
- 발해토기연구
- 『東北通史』에 나타난 金毓黻의 ‘東北’ 史觀
- 식민지 및 보호령 제도에 관한 프랑스 국제법 학자들의 견해
- 韓醫學으로 보는 文宗의 疑問死에 대하여
- 彌勒寺址 西塔 「舍利奉安記」의 分析
- 時間的 推移에 따른 遼東地域 靑銅器의 變化樣相 檢討
- 간도협약 직전(1908) 청국의 백두산 국경 날조사건에 관한 연구
- 고조선시기의 장제와 껴묻거리 연구
- 조선중기 鹿屯島 확보와 北兵使 李鎰에 관한 일고찰
- 박은식의 동아시아 인식
- 高句麗 卷雲文 瓦當의 成立과 그 背景
- 백제의 救恤 · 賑貸 정책과 ‘佐官貸食記’ 목간
- 處容舞 服飾, 天衣의 神聖性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한국상고사학보 제129호 목차
- 중도유형문화 토기 생산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 기반 고고학 토기 분석 시스템 구현: 대형언어모델을 활용한 자동 측정과 형식·순서배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