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낙동강 하구 구비전승 구연자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 양상
이용수 79
- 영문명
- A study on aspects of placeness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oral speaker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저자명
- 박유리(Park, Yu-Ri) 정규식(Chung, Ku-Sik)
- 간행물 정보
-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29집, 5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goal of the research which sees is to analyze oral narrative text of the mouth of Nakdong liver oral speaker. Placeness is a very important concept. This meaning has the opposite meaning of placelessness. The mind where the people loves the place is the valuable thing. When but the valuable mind disappears about place and the place makes meaning lose. Currently that people are inauthenticity of place about that place. The authenticity is stronger rather. That place changes rapidly and the people of the mouth of Nakdong liver are leaving that place. That place must make in the space where the person is years old possibility. To say again and is must demobilize that placeness. Is a method which is only it saves that place. (Dong- a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낙동강 하구의 원형적 장소성
3. 낙동강 하구의 전변적 장소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려말(高麗末) 지식인(知識人)의 대일본승(對日本增) 시(詩) 교류(交流)와 일본(日本)에 대한 인식(認識)
- 낙동강 하구 구비전승 구연자의 장소성에 대한 인식 양상
- 3.15 관련 기사의 비판적 담화분석과 사회적 의미
- 낙동강지역 장송문화의 특징
- 실존 인물신의 등장 배경과 특징에 관한 연구
- 고대 낙동강하류 지역사회의 대중국 해상교섭과 그 변동
- ‘伽椰’의 어원 연구
- '재만(在滿)'이라는 경험의 특수성
- 부정인문학 방법 서설
- 이브의 범죄와 혁명
- 한국과 일본의 초등 어휘교육 비교 연구
- 변화된 시간 감각과 내면의 표정들
- 구포지역의 마을신앙과 의례의 문화원형적 가치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문학분야 NEW
- 동남어문논집 제59집 목차
- 김애란 소설의 비장소성 연구: 인물의 비장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 경와(敬窩) 엄명섭(嚴命涉)의 『논어집주언해(論語集註諺解)』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