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방과 후 농구수업의 실행 과정과 교육적 의미

이용수  384

영문명
Implementing process and its educational meaning of the after-school basketball class that sport education model applied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진형수(Jin, HyungSoo) 신기철(Shin, KiCheol) 김대진(Kim, DaeJi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8집, 135~16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의 일상은 대학입시에 대한 중압감과 과도한 학습량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에 건강과 체력의 유지⋅증진에 필요한 신체 활동의 기회는 유보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정과체육시간이 암묵적으로 주지교과 학습을 위한 자율⋅보충학습으로 남용되는 교육 현실이 이를 방증한다. 더욱이 선택중심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해 정과체육시간마저 부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에게 신체 활동의 기회를 부여하는 동시에 정과체육의 대안으로서 방과 후 체육교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과 후 교실의 일환으로 개설된 농구교실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농구 수업을 어떠한 단계를 거쳐서 실행하였는지를 기술하고, 실행 과정상의 어려움과 학생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교육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목적 표집에 의한 네 명의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개방형 설문조사, 심층면담, 교사수업일지, 문서 그리고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분석 과정을 통해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농구수업의 실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의 방향 제시, 스포츠위원 선발, 설문조사 등의 오리엔테이션. 둘째, 기초기술의 숙달 및 경기운영역할의 이해⋅적용 단계인 기술연습⋅경기운영역할 교육과 개인의 성취도를 알아보는 평가. 셋째, 팀 전술 완성과 경기운영역할의 재평가라는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시범경기와 공식경기. 마지막으로 새로운 스포츠 문화와의 만남의 장이 되었던 팀별 이벤트와 시상식 등이 실시되었다. 스포츠교육모형 적용 농구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수업 준비’, ‘수업 환경’, ‘학생 관리’ 등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경험한 것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교사와 학생간의 공감대 형성’, ‘적극적인 역할 수행’, ‘체육의 가치인식’ 등으로 해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pplying progress of sport education model to the basketball class in after-school programs for high-school students. And we analyzed the problems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ed/closed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teachers’ teaching journals, documents and participated-observation. Textual analysi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First, basketball classes applied sport education model were composed of the class orientation(1H), basic skill, team strategy, education in playing the role of administrator(6H) and evaluation(2H), an exhibition game(2H) and an regular game(6H). Some of the difficulties while applying this model were that ‘providing is preventing’, ‘poor lesson environment’ and ‘difficulties in administering students’. Lastly,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performance of above model were ‘bond of sympathy between teacher and student’, ‘active role performance’ and ‘recognizing values of physical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스포츠교육모형 적용 방과 후 체육수업의 실행 과정
Ⅳ. 스포츠교육모형 적용 방과 후 농구수업의 교육적 의미
Ⅴ. 요약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형수(Jin, HyungSoo),신기철(Shin, KiCheol),김대진(Kim, DaeJin). (2010).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방과 후 농구수업의 실행 과정과 교육적 의미. 교육연구, 48 , 135-168

MLA

진형수(Jin, HyungSoo),신기철(Shin, KiCheol),김대진(Kim, DaeJin).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방과 후 농구수업의 실행 과정과 교육적 의미." 교육연구, 48.(2010): 135-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