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학논술 교육과 에듀테인먼트 전략

이용수  298

영문명
Literary essays education and Edutainment Strategies- Focusing on the 7th revision Korean textbook -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명석(Myungseok Kim)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8집, 27~4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표는 문학논술이 에듀테인먼트와의 결합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지 현황 파악과 대안 모색을 통해 가능성을 검증해 보는 것이다. 여기서는 에듀테인먼트 중 영화를 교육에 활용한 것, 정규 중등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진 것을 중심으로 구체적 논의를 진행하고, 연구대상을 제7차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로 한정하였다. 본론에서는 소설을 영화로 영상화 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아홉 살 인생』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새 교과서에서는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습내용들로 제한되어 교수학습방법상 문학논술 지도의 적극적 활용이 요망된다. 매체 언어 교육을 넘어서 시나리오 다시 쓰기 등을 통해 상상력을 신장시키고, 논리성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감성적 능력과 서사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지도해야 한다. 또한 에듀테인먼트 방식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블로그나 카페를 적극 활용하고, 게임의 방식과 캐릭터를 도입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비계를 제공해야 한다. 두 가지 사례를 참조하여 문학논술 에듀테인먼트의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해 본다면 첫째, 국어교과서에서 제재로 사용되는 영화의 목록을 확대하고, 애니메이션이나 단편, 다큐, UCC 등 다양한 장르의 영상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에듀테인먼트 방법을 다양화해 영화나 방송 매체 외에 온라인 게임, 모바일 분야 등에도 눈을 돌릴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매체의 소통 방식을 논술과 결합시킬 수 있는 학습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소나기 마을과 같이 교과 수업과 현장 학습을 연계시키는 에듀테인먼트 방안을 개발해 다양한 문학콘텐츠들을 논술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론적 모색이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looking at the necessity and the concept of literary essays and then edutainment with literary essay through a combination would be able to function more effectively, the possibility is to study the evidence and challenges. For Specifically discuss,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material 『Our Twisted Hero』 and 『When I Turned Nine』 which are in the 7th curriculum were analyzed as a case. The Text which is a novel adaptation of the video and frequently used before the new curriculum was accepted in the formal education process. Each year the content of the training courses required by the various possibilities with limited work did not represent them properly. Therefore, the parts which have not been accepted in the textbook should be utilized appropriately in the form of essays. Anyway, the literary essay on strategies of edutainment, 'logic' is highlighted as an edutainment 'games' will fall to the weakening. However, this is prejudice like 'essay will be logical'. Literary essays, as well as the gray matter with emotional power and narrative thinking, seeking to play down the full logic is supported as a possibility. 7th revised curriculum to reflect the new textbooks tube. The textbook has its own self-sufficiency rather than a system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s the starting point. Give teachers and learners, the role of parameters in the di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knowledge of the past make the new configuration will be. Textbooks is now just one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t this point going to all the information is electronic, paperback books at a rapid pace forward in the form of e-books will go to change. These terms and conditions as edutainment totally grant a new feature of the textbook can be a positive contribution, but in reality, there is no 'fun'. Operations are still underway and a new textbook, you can change the future if you think tha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direction of the textbook. Emphasis on emotion and image in the world, Media literacy concepts and emphasis on storytelling in the context, sensitivity training and literary narrative essay thinking that can foster a unique role by reinforcing the character of edutainment i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문학논술과 에듀테인먼트 사례
Ⅲ. 문학논술 에듀테인먼트의 문제점과 전략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석(Myungseok Kim). (2010).문학논술 교육과 에듀테인먼트 전략. 교육연구, 48 , 27-49

MLA

김명석(Myungseok Kim). "문학논술 교육과 에듀테인먼트 전략." 교육연구, 48.(2010): 27-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