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대 결절 환자의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 진동 양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897
- 영문명
- Supraglottic Activity and Vocal Cord Vibration in Patients with Vocal Fold Nodul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나희(Hee Na) 김성태(Seong-Tae Kim) 심현섭(Hyun-Sub S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5권 제3호, 444~45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화상회선경술(videostoroboscopy)을 통해 양측성 성대 결절 환자들이 보이는 전반적인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 진동 양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음성의 중증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양측성 성대 결절 환자 48명에게 화상회선경술을 시행하여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의 진동 양상을 4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음향학적 평가를 실시하여 주파수 변동율, 진폭 변동율, 소음 대 배음비 값을 구하였다. 또한, GRBAS 척도를 사용한 지각적인 평가를 실시하여 경도 집단과 중등도 집단으로 나누어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피험자들이 성문상부에서 약한 정도의 전후 압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문 폐쇄도 불완전한 폐쇄 양상을 보였으며, 점막 파동도 정상보다 작은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및 중등도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음향학 측정 항목인 주파수 변동율에서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성대 결절 환자들이 음성 산출 시 약한 정도의 전후 압축을 보여 음성 산출 시 근긴장이 동반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치료계획을 할 때 후두의 근긴장 감소를 포함한 포괄적 치료 접근을 해야 하는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주파수 변동율이 성대결절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으며 성대결절의 치료효과를 객관적으로 판별하는 데 중요한 음향학적 측정치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444-456.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supraglottic activity, vocal cord vibration and acoustic parameter characteristics of vocal cord nodules and to determine how the supraglottic activity, vocal cord vibration and acoustic parameters features in vocal fold nodules differ according to perceptual voice severity. Methods: A total of 48 patients with vocal fold nodule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Videostroboscopy, MDVP and GRBAS scale analyses were performed on all patients. In the videostroboscopy test, seven measurements were assessed using a four-point scale: (1) false vocal folds compression (FVF compression), (2) anterior to posterior compression (A-P compression), (3) glottal closure, (4) amplitude, (5) mucosal wave, (6) symmetry, and(7) regularity. Additionally, in the MDVP test, three parameters were measured: (1) jitter, (2) shimmer, and (3) NHR. Perceptual voice severity was evaluated with the use of the GRBAS scale. Results: A majority of the subjects had weak A-P compression however, the FVF compression was almost normal. The glottal closure showed anterior or posterior chink or hour-glass configuration chink. A majority of the subjects had a small amplitude mucosal wave, and the symmetry and regularity were normal level. Second, no parameters of the supraglottic activity or vocal cord vibr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perceptual voice severity. On the other hand, only the jitter parameter of the acoustic analysis showed a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perceptual voice severity. Among the parameters being examined, the jitter and shimmer parameters deviated from the normal value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patients with vocal fold nodules had slightly excessive levels of muscle tension during voice production. Therefore, the authors recommend including muscle tension reduction when treating patients with vocal fold nodul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444-456)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Roles of Nonlinguistic Statistical Learning and Memory in Language Skill
- 한국 말더듬 성인 쓰기 내용의 오리진과 폰 분석
- 언어치료학과 교과과정 현황조사 및 인증기준 개발
- 읽기이해부진아동의 다의어 의미 처리 특성
- 학령 전 아동의 담화결속장치 발달에 관한 종단 연구
-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비유 의미 인식
- 초등학교 2, 4, 6학년 아동의 설명담화 쓰기 비교
- 성대 결절 환자의 성문 상부 움직임 및 성대 진동 양상에 관한 연구
- 실어증 환자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와의 상관
- 초등학교 3~6학년 일반학생과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구문인식 비교
- 듣기 훈련과 외적 음성 기준 사용이 과대비성의 청지각적 평가 신뢰도에 미치는 효과
- 음운적 단어에 나타난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발생 위치
- 구개열 아동,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일음절 낱말 자음정확도, 말 명료도 및 말 용인도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