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앙아시아 한인 사회와 교육
이용수 154
- 영문명
- Ethnic Korean Society in Central Asia and the Problem of Education in 1930-40s.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방일권(Bang Il-Kwon)
- 간행물 정보
- 『역사문화연구』제26집, 83~1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소련 당국의 교육 정책과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의 상호 작용이라는 관점에서 1930-40년대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의 교육 발전의 문제를 살피고 있다. 러시아 극동 및 중앙아시아 한인사회에 관한 연구에서 교육의 문제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최근의 연구들은 이주 한이 사회의 성공적 정착의 동인으로 서 교육을 주목하고 있으나 기존의 주요한 연구들은 소련 당국의 정책과 지원에 대한 관심에 비해 한인 사회의 변화를 감안한 반응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면밀히 분석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 저자는 1930년대와 40년대 중앙아시아 한인 사회가 처한 어려움속에서 교육에 대해 경주한 노력들을 살펴본다. 강제이주 이후에 당장의 현지 정착이라는 어려움과 더불어 교육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만 했던 한인사회는 기본적으로 소비에트 당국의 정책과 지원에 의존적인 입장에 놓여 있었으나 적극적인 노력과 지원으로 학교 건설과 교육 여건을 마련하는데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1930년대에 비해 40년대는 중앙아시아 한인사회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시기였음에도 이 시기에 교육의 민족적 내용은 급격히 쇠퇴하였다. 이는 부모나 학생 모두 학교 교육에서 모국어의 강조나 확대 보다 오히려 더욱 러시아어 학습에 노력과 시간을 투자함으로써 소비에트 학교 교육이 사회적 이동의 통로로 활용되기를 기대하였기 때문이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sketch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ethnic Korean society in the period of 1930-40s, considering the element of social influence on educati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in ethnic Korean society in Russian Far East and in central Asia has received only minimal attention from scholarship.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have attempted to find that education was a key to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ns in the alien lands. Especially G. Kim paid great attention to the problem of interrelation between soviet policy in the sphere of education and its development in ethnic korean society.
Most scholarly work, however, pays little attention to the topic on the viewpoint of accepters. As has been noted by G. Kim soviet policy in the sphere of education had great power to ethnic minority such as korean in Soviet central Asia. However the question how and why ethnic korean society decided to accept the sovietized system of education have not been studied in detail. In chapter 2 and 3, author observes the circumstances in the sphere of education of ethnic Korean society in central Asia. On the end of 1930s they had to solve two problems simultaneously: to prepare the base to live and to educate young generation adopting the enforced for them difficult environments. For the first few years after deportation, they had no choice without depending on the support from soviet authorities for basic foundation to educate young generation. So they endeavored to assimilate in the policy of the Soviet authorities. At the same time korean communities in central Asia made effort to construct there own schools and to assign a lots of budget for them. Also I observe the results, the problem of national language, and the growth of school and student.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the ethnic korean society saw a rapid sovietization of programs in schools in the period of stability of 1940s. It was accompanied with the desire of korean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make education as a good means of social
movement.
목차
Ⅰ. 머리말
Ⅱ. 강제이주 직후 당국의 교육정책 변화와 고려인 사회
Ⅲ. 1940년대 한인 학교 교육의 발전 경향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경제공동체의 형성과 발전과정의 재조명
- 일본의 중앙아시아 원조외교와 다자주의
- 三國時期 都城史 硏究의 현황과 과제
- 1930년대 중반~1980년대 중반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언론, 공연,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문화적 지향성 연구
- 헤르만 산더의 한국 기행(1906~07) 목적과 조사방법
- 4월참변 당시 희생된 한인애국지사들
- The Hope and the Frustration of the Korean South-North Relations 1973-74
- 『奉使图』与『东游集』及郑玙等问题的考辨
- 중앙아시아 한인 사회와 교육
- 地圖와 記憶
-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의 정치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